한국문인협회 인니 지부 [제 7회 적도문학상 수필부문 장려상] 휴가/윤형일
페이지 정보
본문
휴가
1.
얼마 전 친구에게 갑자기 카톡이 왔다.
“자카르타는 살 만해?”
어느새 삼십 년 가까이 인연을 이어가는 이 친구는 대학 동아리 동기이다. 90년대 초반, 대학에 들어간 나는 고등학교 내내 꿈꾸던 밴드 동아리에서 전자기타를 치겠다는 꿈을 가지고 문을 두드렸다.
“기타 안 들고 왔어? 어이구야. 그래 그럼 이걸로 서태지의 하여가 리프 한번 쳐볼래?”
밴드 동아리 선배는 한심하다는 표정과 함께 기타를 넘겨주었다. 광주에서 상경한 나는 주눅이 들기 싫어 언제나 오버액션하면서 나름 당당한 척하며 처신했는데, 그 선배의 표정과 질문은 그동안 날 가려주던 커튼이 순식간에 불어온 바람에 날아가 버린 느낌이었다.
난 기억도 나지 않을 만큼 빠르게 밴드 동아리에서 나와 허우적거렸고 무슨 인연인지 학교 한쪽 구석에 자리 잡고 있던 고전 기타 동아리에 가입하게 되었다. 그는 이 동아리에서 만난 친구였다.
나보다 한참 늦게 동아리에 가입한 그와는 기타나 음악보다는 술과 담배를 함께하며 젊은 시절의 추억을 쌓았다. 그나, 나나 갈 곳이 마땅하게 없어 동아리방에 ‘죽치고’ 있던 치들 중 하나였고, 그리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미지근한 상태로, 마치 된장을 숙성시키듯 느릿느릿하게 시간을 함께 했었다. 그리고 모두가 그렇듯이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을 다니고, 결혼하며 자연스레 소원해지게 되었다.
나는 동아리 카톡방을 통해 가끔 친구들의 소식을 보기만 접하며 나가지도 못하고 제대로 활동하지 못한 채 남아있는 말 그대로 아웃사이더였다. 몇 년에 한 번씩 동문회에 나가긴 했지만, 그냥 얼굴만 비췄을 뿐이라 그를 언제 만났었는지 기억도 나질 않았다.
2년 전 나는 다니던 회사에서 주재원으로 자카르타에 파견을 가게 되었고, 출국하기 전 그래도 동기들에게 뭔가 신고를 해야 할 거 같았다. 그래서 인도네시아에 간다는 말과 함께 자카르타에 올 일 있으면 “숙식(宿食)”은 안되더라도 “숙(宿)”은 제공해 주겠다는 눙을 쳤지만, 당연히 별 반응은 없었다.
그리고 또 당연히 지난 2년 동안 내게 아무도 “숙(宿)”을 부탁한 사람이 없었다. 그런데 2년 만에 단톡방이 아닌 개인 톡으로 그에게 연락이 온 것이었다.
“자카르타는 살 만해?”
살 만하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살기 어렵다고 해야 할까. 이런 질문에 뭐라고 답하는 거지란 생각을 하는데 카톡 하나가 더 날아왔다.
“다음 주 목요일에 자카르타 가는 데 얼굴 볼 수 있어?”
지금도 이유를 잘 모르겠지만 난 그가 질문을 보낸 시간과 내가 답을 보낸 시간이 멀면 안 된다는 생각에 바로 답장을 했다.
“당연하지. 와. 대박이다. 네가 처음이야. 내 초대에 응한 사람은.”
내가 누군가를 초대한 적이 있던가. 이런 생각은 밀려오는 걱정으로 금세 밀려났다. 뭘 어떻게 하지? 휴가를 낼 수 있을까? 우리 집에서 재워야 하는 건가? 등등 질문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이때까지만 해도 나는 그가 나처럼 주재원으로 오게 되어 사전 조사를 하려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었던 것 같다.
무슨 우연인지 아이들 방학 때문에 가족들은 그가 오기 이틀 전 한국에 들어갈 예정이라 아내에게 조심스럽게 물어보니 당연히 집에서 재워도 된단다. 덕분에 친구에게 체면치레를 하겠구나 싶었다.
2
그는 인천공항에서 비행기를 기다리면서 인도네시아의 역사와 정치, 그리고 최근 신문 기사와 CNN이 선정한 가장 맛있는 음식에 선정된 사떼아얌(Sate Ayam), 른당(Lendang) 등등의 정보를 습득한 상태였지만, 공교롭게도 관광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예습이 되어 있질 않았다.
휴가를 내기 어려워서 금요일 하루 일정을 짜주었다. 따만 파따힐라(Taman Fatahillah)와 마스지드 이스띠끄랄(Masjid Istiqlal), 그리고 길 건너 있는 대성당(Our Lady of the Assumption Cathedral), 모나스 타워(Monas) 그리고 마지막으로 회사 근처에 있는 파사르 산타(Pasar Santa)까지...
첫날을 너무 강행군을 시킨 건지 저녁 자리에서 만난 그는 조금 지쳐 보였다.
“와 파사르 산타 좋더라.”
전혀 예상하지 못한 그의 소감이었다. 파사르 산타는 남부 자카르타에 있는 그리 크지 않은 규모의 작은 시장인데, 지하에는 전국의 커피를 아주 싼값에 파는 원두커피 가게가 있고, 1층엔 우리나라 8~90년대에 봄 직한 작은 가게들, 2층 한쪽에는 현지 음식을 파는 와룽(Warung)이라고 불리는 작은 식당이 가득하고, 반대편에는 홍대에서나 볼 법한 힙(Hip)한 물건을 파는 가게들과 간식을 파는 곳이 가득하다.
파사르 산타는 내가 자카르타에서 좋아하는 장소 중 하나이고, 나이 든 사람과 젊은 사람들의 니즈를 한 번에 해결해 주는 몇 안 되는 곳이라는 게 내 평가다. 그와 내가 닮은 게 있었던가. 최소한 내 대학 시절 기억 속에는 술과 담배를 좋아했던 거 외엔 없었는데. 그저 나이 든 사람들이 갖는 공통점이려니 했다.
다행히 주말은 내가 하루종일 투어가이드를 해 줄 수 있어 자카르타 이곳, 저곳을 다녔다. 이상하게 오히려 내 맘이 급해져 무리인 줄 알면서 아침 일찍 자카르타 동물원(Ragunan Zoo)부터 시작하여 엠블록(mBlock), 멘뗑(Menteng), 글로독(Glodok)까지 하루에 해결했다.
자카르타가 전 세계에서 쇼핑몰이 가장 많은 도시라지만 정작 쇼핑몰은 한 군데도 가지 않고, 내가 좋아하는 장소만 데려가니 한편으로는 걱정도 되면서도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게 아니었다. 다행히 생각보다 그는 즐거워했고, 나는 남는 건 사진뿐이라며 어느 순간부터는 내가 더 신나서 사진을 열심히 찍어주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닷새 내내 이런 갑잡스런 방문에 대해 가타부타 이렇다 할 말이 없어 그에게 묻고 싶은 게 많았지만, 일정이 다 끝나가도록 묻지는 못했다.
3.
어느새 출국 전날이다. 뭘 많이 하긴 한 것 같은데, 뭘 했는지 기억이 잘 나질 않았다. 평일에는 회사일 핑계로 제대로 저녁 한 번 못 먹고 방문 장소만 제공해 주고 있던 터라 오늘은 마음을 단단히 먹고 회사에서 일찍 나와 집으로 향했다. 회사 근처 마트 주류 코너에 들러 “Batavia Whisky”(발리에서 만든 위스키)를 한 병 사 들고 집으로 들어갔다. 그는 내가 묻고 싶던 몇 가지를 알아서 얘기해주었다.
우리가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만난 건 6년 전이란다. 난 기억도 나질 않았는데 내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전라남도 어느 작은 시골에서 장례를 치렀었는데, 문득 ‘그가 서울에서 장례식장까지 걸린 시간이 서울에서 자카르타까지의 그것과 얼추 비슷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6년 새 그의 아버지도 돌아가셨고, 그는 전국의 직장을 돌며 대한민국의 여느 직장인처럼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전공이 기계공학과였던 그는 주로 지방의 제조 관련 공장에서 일을 했고, 한 달 전쯤 마지막, 그의 말로는, “마지막” 회사에서 나와 지금은 사업을 준비하고 있단다. 무얼 준비하고 있냐고, 창업자금은 있냐고, 같이 일할 사람은 있냐고 물어 봤어야 했을까?
술을 워낙 잘 먹고 좋아하는 그였지만, 위스키 때문인지 어느새 살짝 취한 그는 지난 5일이 꿈같이 좋았다고 했다. 기계공학과 출신 이공계 50대 남자의 입에서 나온 “꿈같이 좋았다”는 나도 모르게 코끝을 시큰하게 했다. 아마 나이 때문이겠지. 아마 그럴 거야.
4
2년째 자카르타에 살고 있지만 난 매일매일, 정말 거의 매일 매일이 꿈같이 좋다. 겨우 2년밖에 살지 않았기에 이런 생각을 말하기는 조금 쑥스럽지만 정말 아름다운 곳이다. 최소한 내겐.
어제밤 비행기를 태워 보낸 후 한참을 공항에 앉아 있었다. 삼발(Sambal)을 싸 줄걸, 코코넛 비누라도 더 챙겨줄 걸. 와양(Wayang) 기념품이라도 사줄걸 하면서. 집으로 돌아가는 차 안에서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다. 아! 이제 휴가가 끝나가네.
그는 내 휴가를 위해 왔던 거였나 보다.
약력/윤형일
은행 주재원으로 자카르타 근무(23.8~)
소설쓰기, 수필 쓰기가 취미
<수상소감문>
전혀 예상치도 못했던 장려상을 받게 되어 너무나 감사한 마음입니다. 제 또래의 벗이 은퇴 후 새로운 삶을 준비하며 인도네시아에 있는 저를 찾아와 함께 한 시간을 기록했습니다. 오랜 벗과의 만남이 주는 기쁨과 여운을 글로 풀어낼 수 있어 행복했습니다.
제 이야기에 귀 기울여 주신 심사위원님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일상 속의 작은 순간들을 마음에 담아 글로 나누고 싶습니다.
- 다음글[제 7회 적도문학상 수필부문 우수상] 바람이 건네는 감사/성재경 25.09.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