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회 적도문학상 수필부문 최우수] 긴 단상 - 엄마와 딸 / 장원정 > 한국문인협회 인니 지부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ae7a633ecc5aba50dda8fe8871ff253a_1671380259_2972.jpg

한국문인협회 인니 지부 [제 7회 적도문학상 수필부문 최우수] 긴 단상 - 엄마와 딸 / 장원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수필산책
작성자 편집부 댓글 0건 조회 107회 작성일 2025-08-31 18:38

본문

긴 단상 - 엄마와 딸 


어릴 적, 실과 시간에 바느질을 배웠다. 홈질, 박음질, 감침질….바느질을 하려면 바늘귀에 실을 끼워 주욱 당긴 뒤 매듭을 지어 준비해야 하는데 그걸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 귀찮았던 나는 실을 최대한 길게 잡아당겨서 한 번의 준비로 모든 바느질을 끝낼 요량이었다.  


“ㅇㅇ이는 머얼리 시집 가겠네.”


무슨 소리인가 눈을 휘둥그레 뜨고 엄마를 바라보니 엄마가 웃으셨다. 


“그렇게 실을 길게 잡으면 친정에서 먼 곳으로 시집 간댄다. ㅇㅇ이 실 잡는 거 보니 결혼해서 바다 건너 해외로 가겠네.”


어린 마음에 엄마 멀리 떨어져 사는 것은 싫어서 다음번엔 실을 짧게 잘라 매듭지었지만, 바느질을 하다 보면 중간에 실이 다 끝나서 ‘아, 그냥 길게 할걸….’ 후회하며 새로 바늘귀에 실을 끼우곤 했다. 


그날의 기억은 어린 나에게 꽤나 강렬한 인상을 남겼는지 그 후로도 바느질 할 때면 늘 엄마의 말이 생각났다. 중학교 가정 시간, 고등학교 가사 시간에 꼭 한 번씩 바느질 과제가 주어졌는데, 그때마다 스커트를 만들면서, 미니 한복을 만들면서 내 마음에 따라 실을 잘라댔다. 아무런 근거 없는 속설임을 알면서도 사춘기 아이답게 엄마한테 화가 나면 일부러 실을 더 길게 자르고, 엄마와 사이가 좋은 날엔 귀찮음을 감수하고 실을 짧게 자르면서 엄마와 멀리서 살게 될지 가까이 살게 될지 궁금했다. 


30년이 지난 뒤, 실의 길이와 친정까지의 거리 비례설은 낭설이 아니었던지 나는 국내와 해외를 수년씩 오가며 살고 있다. 해외살이 할 때면 부모님과 멀리 떨어져 살아야 하는 것이 가장 아쉽기에 한국에 있을 때는 부모님 댁 아주 가까이에 붙어 지내는 내 모습이 어릴 적, 실 길이를 오락가락하며 자르던 모습과 겹쳐져서 웃음이 나온다.


이제는 내 아이가 그때의 나보다 훌쩍 커 버렸다. 아이는 이 나라, 저 나라를 돌아다니며 학교를 다닌 탓에 나와 같은 바느질 숙제를 한 적이 없어서 실을 얼마나 길게 자르고 싶은지 알 수 없다. 


지금 한창 수험생 시기를 보내며 예전의 나처럼 엄마가 싫을 때도 있고, 좋을 때도 있을 것이다. 낯선 땅에서 새로 적응해야 할 때마다, 많이 힘들고 외로웠을 아이. 아무리 도와주고 지지해 준다 하더라도 스스로 헤쳐 나가야 할 부분들은 오롯이 혼자만의 몫이기에 우리의 이 떠돌이 생활이 지긋지긋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새로운 환경 속에서의 적응, 공부 스트레스, 진학에 대한 고민에 더불어 친구 관계까지 아이를 가장 힘들게 했을 때, 결국 아이는 문을 꼭 닫고 자기 방에 틀어박혔다. 기다릴수록 입도 닫고, 귀마저도 닫아버리는 아이를 보고 한밤중에 어두컴컴한 방 안으로 들어가서 아이 옆에 같이 누웠다. 한 달, 두 달, 석 달…. 마치 뱃속에 아이를 품고 있었던 시절처럼 깜깜한 방 안에서 큰 아이를 품고 재웠다. 


조금씩 나아지는 아이를 보면서 우리 사이에 보이지는 않지만, 여전히 탯줄이 이어져 있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음식물을 꼭꼭 씹어 삼켜 영양분을 보내듯 내 생각을 잘 갈무리해서 전해주고, 탯줄로 노폐물을 되돌려 보내듯이 아이가 뱉어내는 하소연들도 내가 다시 거두어들였다. 그렇게 수개월, 힘든 시간을 버텨내고 아이는 다시 밝아져서 방 밖으로 나왔다. 하지만 나는 아직도 우리 둘 사이의 보이지 않는 탯줄이 느껴진다. 내가 건강해야 아이도 건강하게 버텨내고, 내가 무너지면 아이도 다시 괴로워한다. 


세상에 엄마가 없이 태어날 수 있는 존재는 없다. 그 중에서도 딸과 엄마에게는 다른 관계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함이 있는 것 같다. 아무리 이성적인 사람이어도 가장 감정이 뒤섞여 들어가는 관계랄까. 자기 자신은 아니지만 타인이라고 부르기에는 지나치게 가까운 사이. 


보이지 않아도 존재하는 것 같은 엄마와 나 사이의 실, 나와 아이 사이의 탯줄. 그리고 그 후로도 이어질 긴 연결고리들을 떠올리면 나의 일부가 계속 살아 숨 쉬는 듯한 느낌이 든다.


8384856a91dcef58a1ef090b3e0fb37c_1756640270_8741.PNG
 

장원정 약력

1979년 11월 서울 출생

2023년 인도네시아 이주, 현재 자카르타 거주 


<수상 소감문>

하루하루가 비슷한 주부로서의 매일이었습니다. 과연 앞으로 누군가의 아내, 아이들의 엄마가 아닌 내 이름으로 지낼 수 있는 곳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즈음에 적도 문학상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이들을 챙기고, 집안일 하는 틈틈이 떠오르는 단상들을 메모장에 적어 보며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되고, 글을 엮고 다듬으면서 스스로 정화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글을 쓰는 작업 자체가 제게는 힐링이고 기쁨이었습니다. 


제 부족한 글 안에서 가능성을 발견해 주신 심사위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오늘부터 지금까지의 제 삶의 궤적과는 조금 다른 새로운 꿈을 꿔보겠습니다. 


<수필부문 심사평>


최우수상 「긴 단상–엄마와 딸」은 간결한 스토리에서 주제를 놓치지 않고 감성적으로 끌고 가는데 의미를 부여하겠습니다. 작가는 첫머리에 바느질의 추억을 떠올리며 현실과의 관계를 화두로 연결합니다. 고국을 떠나 해외살이에서 오는 공간적 격리감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떠올리며 성장한 딸에 대한 자아적 관계성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주 작은 주제라도 비교 관찰을 통하여 삶을 투영해내는 장원정 작가의 상상력을 높이 평가합니다. 또한 세대를 잇는 관계(엄마–나–아이)를 문학적 비유와 정서로 확장시켰습니다. 개인적 경험에서 출발했지만, 보편적 공감으로 나아가는 힘이 돋보여 최우수상 수상작으로 의견을 쉽게 모았습니다. 


*심사: 김준규(글), 서미숙, 하연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