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적 불관용에 눈감는 인도네시아 > 정치∙사회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사회 종교적 불관용에 눈감는 인도네시아 사회∙종교 편집부 2025-07-07 목록

본문

자카르타 대성당(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인도네시아 서부자바 수까부미에서 주민들이 기독교 청년수련회가 열리고 있던 건물을 공격한 사건으로 인도네시아의 종교적 불관용 문제가 또 다시 주목받고 있다.

 

사건의 심각성에 비해 검찰이 관련 용의자 7명에 대한 선고유예를 계획하고 있어 정부가 이런 폭력행위에 너무 관대해 종교적 불관용을 오히려 부추긴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인권단체 국제사면위원회 인도네시아 지부는 지난 4일 성명을 통해, 나딸리우스 삐가이 인권부 장관의 특별 보좌관 또마스 하르밍 수와르따가 이 사건이 "주민들 사이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한 것을 강력히 규탄했다. 오해가 있었다는 것은 사실 아무 일도 아니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국제사면위원회 인도네시아 지부장 우스만 하미드는 또마스 보좌관의 이 발언이 무신경할 뿐만 아니라 종교적 자유와 신앙에 대한 권리를 옹호해야 할 국가의 의무를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용의자들을 우선 구금상태에서 풀어주자는 요구부터 나온 것은 국가가 종교적 증오로 인한 폭력을 용인한다는 잘못된 메시지를 전하게 된다는 것이다. , 주류 종교세력이 비주류 종교세력을 일방적으로 탄압하고 핍박해도 크게 처벌하진 않겠다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인권부가 수까부미에서 발생한 이번 종교적 탄압과 물리적 공격 사건을 규탄하기는 커녕 가해자들의 편을 드는 것이 매우 아이러니할 뿐 아니라 피해자들을 더욱 모욕하는 일이란 것이 국제사면위원회 인도네시아 지부의 입장이다.

 

그는 또한 수니파 무슬림이 다수인 인도네시아에서 아흐마디야와 시아파 공동체 구성원들을 표적으로 삼아 공격을 일삼는 이슬람 내의 종파적 폭력 범죄자들을 정부가 단호히 척결하거나 금지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비판했다.

 

서부자바 지방경찰청장 루디 스띠아완 치안감은 이 사건에 대한 수사발표를 하면서 현지의 개인 주택에 수십 명의 기독교 청년들이 모여들어 무허가 예배장소로 사용되고 있다고 지역 주민들이 의심을 품은 것이 이 사건의 발단이었다고 설명했다.

 

마을의 이장이 이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으나 집주인이 이를 무시하자 주민들이 무리를 지어 해당 주택에 들이닥쳐 창문, 가구, 차량을 파손해 약 5천만 루피아( 414만 원)의 재산피해를 입혔다. 이들이 주택에서 파괴 행위를 하는 장면이 소셜미디어에 확산되며 대중의 분노를 촉발했다.

 

종교자유 감시단체인 와히드 재단(Wahid Foundation)의 시띠 콜리소 대표는 수까부미 사건에서 발생한 종교적 박해행위를 일각의 사람들이 정당화하고 있다는 것이 보다 심각한 사회문제의 분명한 징후라고 지적했다.

 

그녀는 다른 사람들로 인해 자신의 신앙이 위협받고 파괴될 수 있다는 심리적 두려움을 느낀 다수 집단이 이러한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두려움은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궁극적으로 극단주의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두려움이 종교적, 수적 우월감과 화학작용을 일으켜 집단폭력으로 표출된다는 것이다.

 

그녀는 수까부미에서 일어난 일이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며 이러한 종교적 불관용의 사회분위기가 창궐하는 한 진정한 종교간 교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녀는 와히드 재단 2023년 보고서를 언급하며 정부의 무관심, 특정 종교에 대한 편애, 차별적인 규제가 종교적 불관용의 핵심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문제의 규제 중 하나는 2006년 종교부와 내무부가 예배장소 건설에 관해 발표한 공동장관령이다. 이 규정은 지역 주민 최소 60명의 서명, 여러 건의 추천서, 그리고 해당 지자체로부터의 다양한 허가와 승인 등 엄격한 요건을 요구하고 있어, 소수 종교의 예배시설 건설은 어려움을 겪는 정도가 아니라 사실상 불가능했다. 설령 관공서의 승인을 득한다 해도 이번엔 주민들이 몰려와 항의하며 떄로는 폭력사태로 발전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벌어졌다.

 

스따라 민주주의 평화연구소(Setara Institute for Democracy and Peace)의 할릴리 하산 소장은 이 공동법령이 종교의 자유를 명백히 제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도네시아와 같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모든 시민 개개인은 종교활동을 하기 위해 어느 누구의 허락도 받을 필요가 없다며 개인의 자유로운 신앙과 예배의 자유를 보장한 1945년 헌법을 강조했다.

 

할릴리 소장은 최근 성명에서 인도네시아의 불관용이 심화되어 작년에 260건의 종교자유 침해 사례가 보고되었는데 2023년 대비 20% 증가한 수치라고 덧붙였다. 해당 사건들 대부분은 배타주의 이념을 조장하는 종교단체들에 의해 자행되었고 종교를 정치화하거나 소수신앙의 권리를 무시하는 지방정부가 강력한 배후로 작용했다.

 

종교적 불관용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서부자바, 동부자바, 자카르타, 북수마트라 등이다. 동부자바와 별반 다를 바 없는 종교-인구 지형을 가진 중부자바와 이슬람 근본주의에 입각한 샤리아법이 지배하는 아쩨 지역이 해당 순위 뒤쪽에 있는 것은 의외이나 어쩌면 불관용 사례 보고조차 하지 못할 만큼 종교적 압박과 낙인효과가 더욱 심한 지역이란 의미일 수도 있다.

 

종교적 불관용이 계속될 경우 정부의 단호한 개입이 필요하지만 쁘라보워 수비안또 대통령의 행정부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할릴리 소장은 이와 같은 불관용 사례들에 대해 나사루딘 우마르 종교부 장관이 공개적으로 관련 논평이나 지침을 내지 않고 침묵을 지켜 정부의 모호한 입장이 대중으로서는 오히려 자기 주장을 강화하는 근거로 삼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종교부의 이러한 침묵이 결과적으로 불관용을 정당화하고 제도화하게 될 것이며 대통령이나 장관 등 고위 공직자들의 발언이 특정 사안과 관련한 대중의 태도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사우디 아라비아를 공식 방문한 쁘라보워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움로 순례를 굳이 이 기간에 공개적으로 가진 것 역시 국민들에게 정부 차원의 종교적 편향성을 보여주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종교부 산하 종교화합센터 무함마드 아딥 압두쇼마드 소장은 인도네시아의 종교적 관용이 개선되고 있다는, 현실과 크게 동떨어진 주장을 내놓았다.

 

그는 종교부가 발표한 2024년 종교화합지수가 76.47점을 기록해 높음등급을 받았으며, 이는 대부분 무슬림들로 구성된 응답자 13천명을 대상으로 한 전국 설문조사 결과라고 강조했다.

 

그는 2024년 동시선거가 치러질 당시에도 종교적 긴장이 고조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동시에 상당한 개선이 관측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란과 이스라엘에서처럼 국제적 갈등이 종교적 문제로 치환되어 국내 지역사회에 불안을 부추길 가능성이 있음을 언급했다.

 

종교부는 그간 종교간 대화를 위해 전국 512개 도시에 종교화합포럼(Religious Harmony Forums)을 만들었고 451개 지역에는 이른바 화합 마을(Harmony Villages)을 두었다. 그러나 쁘라보워 대통령의 효율성 제고조치, 즉 대규모 예산삭감으로 사실상 제대로 된 사업진행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음을 인정했다. 하지만 아딥 국장은 해당 사업이 종교 및 교파 간 화합을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자카르타포스트/자카르타경제신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