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정부는 11일부터 13일까지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개최되는 국제 문화행사에 참여해 더 많은 인도 관광객들을 유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광부 아시아-태평양 홍보국장 빈센시우스 즈마두는 “올해 35만 명의 인도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정했다. 인도는 인도네시아에 무사증 입국이 허용된 90개 국가 중 한 곳&rdqu
문화∙스포츠
2016-03-11
자카르타 부지사 자롯 사이풀 히다얏은 “2017년 자카르타특별주 주지사 선거에 현 주지사 바수끼 짜하야 뿌르나마(아혹)와 함께하기 위해 투쟁민주당(PDI-P)을 떠날 수는 없다”고 발표했다. 자롯 부지사는 “자카르타 부지사로서 선출된 데에는 당 추천이 있었기 때문이다. 만약 아혹 주지사가 나와 함께
정치
이민국 사무소는 지난 1월 24일 사무소 내 수용소에서 탈출한 싱가포르인 다마르 마하두르 셰뜨리를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수배자 셰뜨리(55세)는 입국 서류 위조 혐의로 지난해 11월 21일 체포되었으며, 도주 당시 이민국 직원들에게 뇌물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바땀 이민국 사무소장 아구스 위자야는 &ld
사건∙사고
인도네시아 교통부가 할림 쁘르다나꾸수마 공항 운영권을 획득한 라이언 그룹의 자회사 앙까사 뜨란스뽀르띤도 슬라라스(PT Angkasa Transportindo Selaras, ATS)에 서비스 제공 독점에 관해 경고했다. 할림 공항은 기존에 공군 기지로 사용되어 상용 비행기와 전투기가 활주로 및 격납고를 함께 사용해 왔다. &nb
사회∙종교
2016-03-10
인도네시아 3대 대통령이었던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가 지난 4일, 세균성 감염으로 병원에 입원했다. 대통령 전담 의료지원단은 하비비 전 대통령이 국군병원(RSPAD)에 입원해 있으며 안정이 필요한 상태라고 밝혔다. 하비비 센터 센터장은 “하비비 전 대통령의 빠른 회복을 위해 모든 방문객 면회를 금지했다
보건∙의료
지난 4일 새벽 동부 자카르타 잘란 마이젠 수또요에서 오토바이 두 대가 충돌한 뒤 떨어진 운전자가 트랜스자카르타 버스에 부딪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자카르타 경찰 교통과 법률집행국장 부디얀또는 “오토바이 운전자 중 한 명이 사망하고 다른 한 명의 운전자와 버스 운전기사는 무사하다”고 발표했다. &nbs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 일식'이 예고된 인도네시아 섬 지역에 특별한 우주쇼를 보려는 관광객들이 몰려들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현지 시간으로 9일 오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과 칼리만탄섬, 술라웨시섬 등에서 개기 일식이 나타날 예정
2016-03-09
인도네시아와 이슬람협력기구(OIC) 회원국들은 7일, 정상회담 폐막식에서 이스라엘이 불법적으로 생산한 제품을 보이콧 해야 한다고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보이콧 요청은 조꼬 위도도 대통령이 OIC 회담 폐막 연설에서 ‘자카르타 선언문’을 발표하며 전달되었다. 인도네시아 외무부 산하
4일, 수라바야 검역사무소는 딴중 쁘락항에서 보건증명서 미포함으로 수백 킬로그램에 달하는 중국산 귤 34상자를 몰수했다. 농경부 장관 암란 술라이만은 “상자에 담긴 귤들은 이미 상해 있었다. 보건 증명서가 없는 식품을 소비자가 섭취했을 시 건강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검역사무소장 바눈
바시르 수단 대통령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대량학살과 반인도 범죄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의해 지명수배된 오마르 알-바시르 수단 대통령이 이슬람협력기구(OI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인도네시아를 방문했다고 현지 언론이 7일 보도했다. 바시르 대통령은 전날 자카르타의 할림 페르다나쿠수마 국제공항
서부 누사 뜽가라(NTB) 행정부가 숨바와(Sumbawa) 지역 관광지 개발을 위해 나섰다. NTB 부지사 무함마드 아민은 “숨바와 지역 개발을 위해 몇몇 투자자들과 함께 논의 중이다. 숨바와 지역은 관광지로서 잠재력이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 위치상 롬복 주변에 있어 명성에 가려져 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 70년 유엔 역사상 비군사적 조치로는 가장 강력하고 실효적인 제재 결의 –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금 3.3(목) 00:17(뉴욕시간 3.2(수) 10:17) 북한의 4차 핵실험(1.6)과 장거리미사일 발사(2.7)에 대해 유엔 헌장 7장 41조 (비군사적 제재)에 따라 대북한 제재 조치를 대폭 확대&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