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대사관 예루살렘 이전' 논란속 濠-인니 무역협정 막판 연기 > 정치∙사회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사회 '호주대사관 예루살렘 이전' 논란속 濠-인니 무역협정 막판 연기 정치 편집부 2018-11-13 목록

본문

인니서 부정적 여론 상승…濠총리 "서명 계획 안잡혔지만 서두를것 없어" 
 
 
미국에 이어 이스라엘 주재 자국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힌 호주와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의 무역협정 체결이 상당 기간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현지 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이날 호주 스카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유무역협정(FTA)의 일종인 인도네시아-호주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IA-CEPA)의 서명 시기를 묻는 말에 "잡힌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당초 양국은 이달 중순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가 열리는 싱가포르에서 IA-CEPA 협정에 서명할 계획을 세웠다가 막판에 서명식을 연기했다.
 
모리슨 총리는 "(서명) 계획이 잡히지 않았지만, 걱정은 하지 않는다. (IA-CEPA는)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거래"라면서 "서두를 것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 주재 호주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한다는 그의 발언이 IA-CEPA 협정 체결에 제동을 건 것으로 보이지만, 모리슨 총리는 부인했다.
 
그는 "우리는 이런 협정들과 관련해선 다른 무관한 정책 영역을 뒤섞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조꼬 위도도(일명 조꼬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이번 협정을 매우 지지한다고 믿는다"면서 "최종 서명 시점은 그들(인도네시아 정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모리슨 총리는 지난달 16일 자국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겨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하원의원 보궐선거를 앞두고 유대인 표를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됐다.
 
그의 발언은 2억6천만 인구의 87%가 이슬람을 믿는 세계 최대 무슬림 인구국인 인도네시아를 자극했다.
 
인도네시아는 이런 움직임이 중동 평화에 반한다면서, 인도네시아 주재 호주대사를 즉각 초치해 해명을 요구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인도네시아 일각에선 주 이스라엘 호주대사관을 이전하지 않겠다는 확약 없이는 호주와 무역협정을 체결해선 안 된다는 주장까지 제기된다.
 
내년 4월 총·대선을 앞둔 조꼬위 대통령과 정부·여당으로선 이런 분위기를 무시한 채 협정에 서명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호주는 국경을 맞댄 이웃인 인도네시아와의 교역 확대를 위해 10여년 전부터 무역협정 체결을 추진해 왔다.
 
전문가들은 IA-CEPA가 발효되면 연간 164억 호주 달러(약 13조3천억원) 수준인 양국 간 무역 규모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