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 치가 뮤직비디오의 한 장면. 유튜브 캡쳐 분홍색 폴로 피케 티셔츠에 우스꽝스러운 리복 전대, 힙합과는 어울리지 않는 촌스러운 옷차림의 17세 인도네시아 소년이 전세계 랩퍼들을 사로잡았다고 한국일보가 보도했다. 뮤직비디오가 공개된 지 불과 1주일 만에 조회수는 420만뷰를 넘어섰고, 시사주간지 타임지는 인도
사회∙종교
2016-10-20
자카르타교통경찰은 올해 1~9월 기간 자카르타 내 교통 위반 건수가 97만 8,151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36.58%나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위반 건수 가운데 오토바이는 76만 8,425건에 달했다. 고교생 등 학생이 위반한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46.5% 증가한 5만 2,868 건, 대학생은 전년 동기 대비 5
지진발생지점 표시. 자료사진=리퍼블리카 서부자바 수방 지역에서 19일 오전 7시 25분께 리히터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했다. 아직까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인명이나 재산 피해에 관한 신고는 들어오지 않았고 쓰나미 발생도 없었다. 기상기후지질청(BMKG)는 19일 트위터 계정 @i
사건∙사고
2016-10-19
바수끼 자카르타특별주지사(왼쪽)와 소피아. 사진=소피아의 인스타그램 산디아가(왼쪽)와 라믈란. 사진=라믈란 인스타그램 빠사르바루를 방문한 아구스(왼쪽)와 아내 아니사. 사진=드띡 자카르타특별주지사 선거(2017년 2월 15일 투개표)에서 각 후보의 선거대책본부는 지명도 높은 유명 인사를 노출하며 팬
정치
자료사진=므르데까 아체 특별자치주 바이뚜라흐만 회교사원 앞에서 17일 샤리아 율법 위반 혐의로 총 13명(남성 7명, 여성 6명)이 공개 태형에 처했다. 여성 1명은 임신 3개월로 형이 연기됐다. 이들은 21~25대의 태형을 선고 받았다. 지난해 12월에는 20세의 여대생 엘리타가 미혼남녀의 의심스러운
서부자바 수까부미 여성 수 백 여명이 중동 출신 남성과 결혼했다. 필리안또 악바르 수까부미 이민국장은 17일 현지 언론 안따라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동 남성들이 인도네시아 체류기간을 늘리기 위해 수까부미 여성들과 가짜 결혼을 하고 있다”고 밝히고 “최근 이민국이 현지 여성과 가짜 결혼한 요르단 출
자카르타교통경찰에 따르면 자카르타특별주에서 2016년 1~9월 기간 적발된 교통 위반 건수는 총 97 만 8,151건으로 전년 동기 71만 6,166건 대비 37% 증가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글로브 17일자 보도에 따르면 자카르타교통경찰당국의 부디얀또 국장은 “교통 위반자 나이별로는 30대가 전체 62%, 직업별로는
휴양지로 유명한 발리섬 인근에 위치한 2개 섬을 연결하는 현수교가 16일 붕괴돼 최소 8명이 사망하고 32명이 다쳤다. 사망자 가운데 세 명은 3살에서 9살 사이 어린이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언론 꼼빠스는 이번 사고로 사망하거나 다친 사람은 모두 현지인이며 외국인은 없었다고 현지 경찰당국의 발표를 인용해 17일 보도했다.
2016-10-18
14일 밤 10시 30분 자카르타 수까르노-하따 국제공항에서 호주 멜버른으로 향하는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기 A330에 탑승한 승객이 사망한 사건에 대해 항공사가 매뉴얼에 따라 제대로 대처한 것이 맞냐는 불신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망한 승객은 인도네시아인 중년 남성 룩만 수산또(66)씨로, 이륙 약 1시간 뒤 화장실에 다녀온
사진=드띡 반둥시가 11월 1일부터 음식물 포장에 쓰이는 일회용 스티로폼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다. 요식업계 및 포장음식을 판매하는 소상인들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상인들은 금전적으로는 큰 영향이 없겠지만,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고 어떤 대안을 찾아야 하는지 아직 얼떨떨한 상황이다
필리안또 악바르(오른쪽) 수까부미 이민국장이 17일 서부자바 수까부미 이민국 건물에서 이라크인 불법체류 이라크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꼼빠스 15명의 이라크인들이 서부자바 찌안주르군의 한 빌라에서 지난 12일 수까부미 이민당국에 의해 구속됐다. 인도네시아 체류 비자가 없이 불법 체류해 이민법 &lsqu
2014년부터 외국어선 240여척 침몰시켜…"中어선도 예외없다" 중국 어선의 불법조업 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지면서 자국 어장을 침범한 외국 선박들을 폭파, 침몰시키는 강경책을 구사해 온 인도네시아의 사례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2014년 불법조업에 대한 강경 대응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