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비즈니스 인도네시아 발리, 금융 허브가 될 준비 되어 있는가 금융∙증시 편집부 2025-10-23 목록
본문
발리 사누르경제특구(SEZ) 전경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전 대통령 행정부가 구상한 패밀리 오피스(family office) 계획을 추진하면서 발리를 글로벌 금융 허브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관광지인 발리 섬이 그러한 역할에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발리를 싱가포르와 홍콩에 필적할 만한 금융 허브로 만들겠다는 계획은 전 해양투자조정장관이자 현재 국가경제위원회(DEN)을 이끌고 있는 루훗 빤자이딴이 지난 해에 제안한 것이다.
초기에 이 계획은 처음에 비즈니스 리더들이 패밀리 오피스를 설립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었는데 최근 뿌르바야 유디 사데와 재무부 장관이 정부 예산 지원을 배제하는 등 관계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루훗은 패밀리 오피스 계획이 초기 단계에서 국내외 투자자들이 자금을 유치할 수 있도록 세금 0% 정책(zero-tax schema)을 도입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국가 예산에 의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루훗은 지난 16일, "투자자들이 법적 확실성을 요구해 이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계획이 프로젝트 운영에서 신뢰성과 신뢰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한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Bridgewater Associates) 설립자 레이 달리오의 지지를 받았다고도 말했다.
쁘라보워 수비안또 대통령도 이 계획을 지지했고, 관계자들은 현재 제안서를 작성 중이며 연말까지 국회 승인 절차를 목표로 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 프로젝트가 발리를 인도 구자라트 국제금융테크시티(GIFT city) 또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의 국제금융센터(DIFC)와 유사한 금융 허브로 구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비즈니스 구역은 인도네시아에 투자하려는 외국 기업들이 계속 겪고 있는 관료주의적 관행을 간소화하기 위해 세금 감면과 규제 면제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국제 은행, 자산 운용사 및 사모펀드 회사를 유치해 인도네시아의 경제 성장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싱가포르의 비즈니스 친화적인 환경을 벤치마킹해 해당 지역에 별도의 법적 틀을 마련할 계획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과 관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자카르타베테랑국립개발대학(UPNVJ)의 경제학자이자 공공정책 전문가인 아흐마드 누르 히다얏은 법적 확실성, 투명한 거버넌스, 숙련된 인재 확보 없이는 이 계획이 "실체 없는 미사여구"에 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흐마드는 싱가포르와 두바이처럼 독립적인 법률 시스템, 효율적인 중재, 글로벌 금융 인재 육성이 필요하며, 지속가능성, 문화 및 지역 조화를 고려한 계획 전환을 제안했다.
덴빠사르국립교육대학교(Undiknas)의 경제학자 이다 바구스 라까 수아르다나는 발리에 금융 인프라나 증권 거래소가 없고 기존 금융 중심지와 경쟁해야 하는 점을 문제로 꼽았다.
글로벌 금융 기관 유치로 발리의 지역 개발 은행인 BPD(Bank Pembangunan Daerah)가 위축될 수 있으며, 지역 주민들은 외국 전문가와 경쟁하기 어려워 소외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섬의 생활비도 증가하여 전통 산업에 의존하는 발리 주민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으로는, 발리의 금융 및 스타트업 생태계, 디지털 유목민 커뮤니티가 성장하고 있어 발리섬의 관광업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줄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수아르다나는 말했다.
발리가 금융 허브가 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성공 여부는 정부가 글로벌과 로컬의 이익을 얼마나 균형 있게 맞출 수 있는지에 달려있으며, 이것이 효과적으로 실행된다면 관광 부문에 오랫동안 의존해 온 발리 주민들은 금융, 기술, 법률,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카르타포스트/자카르타경제신문]
- 다음글인니 정부, 연말연시 국내선 항공료 최대 14% 인하 2025.10.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