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자본 시장은 얼마나 견고할까? > 경제∙비즈니스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비즈니스 인도네시아의 자본 시장은 얼마나 견고할까? 금융∙증시 편집부 2025-07-24 목록

본문

자카르타 수디르만 상업지구 (SCBD) 전경(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 본 내용은 자카르타포스트 7 23일자에 게재된 만디리 연구소장 Andre Simangunsong의 의견입니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의 최대 경제국임에도 불구하고 금융 심화를 방해하는 복잡한 장애물에 직면해 있다인도네시아의 자본 시장은 지역 동종 국가에 비해 현저히 취약한데이는 구조적제도적사회경제적 문제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애물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인도네시아의 막대한 저축을 최대한의 경제적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기적이고 생산적인 투자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책 구상이 필요하다.

 

최근 인도네시아 금융 부문에서 몇 가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인도네시아의 은행 유동성 긴축은 무역전쟁 격화로 인한 리스크 심리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자본 유출로 이어졌다예금 증가를 앞지르는 대출 증가3자 자금 경쟁 심화정부의 자금 조달 수요 증가 등 국내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금융 규제 당국은 이러한 압력을 관리하고 경제 시스템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은행 부문 지배력에서 금융 지식까지

인도네시아의 금융 시스템은 인도네시아 경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전체 금융 자산의 약 75%를 보유한 은행이 압도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국가 주도 금융의 유산인 이러한 은행 중심의 모델은 단기 예금이 주로 은행에 자금을 지원하기 때문에 장기 자본의 가용성을 제한한다따라서 회사채 시장은 GDP의 약 2%에 불과할 정도로 상대적으로 작다.

 

견고한 자본 시장은 탄탄한 국내 기관 투자자 기반에 의존한다인도네시아의 경우 이 기반은 상대적으로 작아 국가 GDP 5.2%에 불과하다선진국에서는 연기금이 장기적인 자본 원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노동력이 연금에 기여하는 비율이 낮고 참여도가 낮기 때문이다또한 연기금 투자 전략은 장기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너무 보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다각화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한편인도네시아는 다른 국가에 비해 주식 시장 규모가 상당히 작다유동성 제한 등 일부 이슈는 지속되고 있으며일부 우량주에 집중적으로 거래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국영 기업(BUMN)을 포함한 많은 대기업의 자유 변동 주식 비율이 낮기 때문에 더욱 복잡해진다규제 당국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는 유동성 공급업체를 도입하는 최신 정책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반면 이달 들어 개인 투자자 수는 1,700만 명을 넘어섰으며이는 5년 전보다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이러한 성과와 함께 이제 개인 투자자를 포함한 인도네시아의 금융 이해도  향상에도 부담이 되고 있다.

 

만드리 연구소는 주식 시장 참여자들이 긍정적인 수익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투자자의 관점을 고려할 때 적극적인 개인 투자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장의 깊이와 유동성이 중요하며증권거래소 상장을 위한 기업의 매력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ASEAN 국가들

아세안의 국가들 중 싱가포르는 지속적으로 금융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싱가포르의 시가총액은 지역 및 국제 기업의 상장을 유치하는 글로벌 금융 허브로서의 역할을 반영한다.

 

하지만 싱가포르의 시가총액은 국내 경제의 영향만은 아니다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높고 규제 환경이 강한 싱가포르 자본 시장은 동남아시아로 자본이 유입되는 핵심 관문 역할을 한다.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상당히 성숙한 자본 시장과 높은 수준의 금융 심화를 가지고 있다국내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주식 시장의 GDP 대비 자본금 비율은 싱가포르와 비슷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에 따르면 태국은 아시아 국가 중 비금융 기업 부채 비율이 가장 높다한편 말레이시아는 자본 시장을 이슬람 금융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샤리아 준수 채권은 2023(Suruhanjaya 증권전체 시가총액의 64.32%를 차지하며 1 1,600억 말레이시아 링깃을 차지했다.

 

인도네시아 회사채 시장 발전

인도네시아의 채권 시장은 확장되고 있지만주로 정부 발행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2024 12월 기준으로 채권 및 수꾸끄(sukuk) 시장의 총 발행 가치는 656 6천억 루피아였다.

 

그러나 회사채 시장은 경제 규모에 비해 여전히 저개발 상태이다. GDP 대비 회사채 자금 조달 비율은 매우 낮아 한 자릿수(GDP 2%)로 추정되며이는 기업 부문이 여전히 자금 조달을 위해 은행 대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기업이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을 막고 투자자들이 이 상품에 투자하는 것을 막는 몇 가지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국내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장기 만기에 대한 신중함 때문에 최대 5년 만기인 단기 회사채를 선호한다장기 투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국채를 선택한다아세안에서 회사채에 대한 전액 보증을 제공하는 기관 중 하나인 CGIF는 기업이 장기 만기 채권을 발행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점을 이러한 요인으로 지적한다.

 

따라서 민간 부문을 활성화하고 회사채가 유망한 투자 수단이라는 점을 투자자들에게 설득하는 것은 향후 경제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보증과 신용등급 외에도 발행 절차를 가속화하고 발행 비용을 낮추면 신규 기업을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그러면 유통 시장 거래에서 회사채의 유동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글로벌 불확실성과 경제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인도네시아는 장기적인 글로벌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관세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전략적 재정 및 통화 지원에 의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민간 부문과 소비자들이 주도하는 내수는 인도네시아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더 탄탄한 자본 시장의 주요 동력이 될 것이다. [자카르타포스트/자카르타경제신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