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정부, 2040년 이후 신수도 모든 차량에 수소차 의무화 추진 > 경제∙비즈니스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니 정부, 2040년 이후 신수도 모든 차량에 수소차 의무화 추진

에너지∙자원 작성일2024-05-20

본문

신수도 누산따라에 건설되고 있는 국가궁 및 대통령 집무실(사진=꼼빠스닷컴/HILDA B ALEXANDER) 

 

정부는 동부 깔리만딴의 새로운 수도로 계획된 누산따라의 모든 차량을 수소 기반 차량으로 의무화할 계획이며이는 당초 배터리 기반 전기자동차(EV)에 초점을 맞추던 정책에서 전환하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지난 17일 자카르타포스트에 따르면, 2035년까지 차량의 50%를 연료전지 EV로 알려진 수소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중간 목표로 삼고 있으며 2040년 이후 의무화된다.

 

경제조정장관실의 산업개발부 차관보 에꼬 하르잔또(Eko Harjanto) 지난 16 '수소 자동차의 위대한 잠재력과 미래 탐구'라는 제목의 행사에서 연료전지 전기차는 누산따라의 더 큰 개발 계획의 일부이며, 수소 연료 전지가 운송 부문에서 청정 에너지를 위한 유망한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앞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미래 수도의 모든 승용차는 배터리 기반 전기차가 되어야 하며대중교통의 80%도 전기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영전력회사 PLN도 누산따라와 위성도시인 발릭빠빤사마린다에 배터리 기반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는 등 이 비전을 지원하기 위해 배터리 기반 인프라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한편수소 기반 전기차는 주로 트럭과 버스를 포함한 도시의 상용차를 구성하기 위해 구상됐다.

 

배터리와 연료전지 전기차는 비슷한 추진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전자는 온보드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할 에너지를 저장하는 반면후자는 연료전지에 의해 전기로 변환되는 수소를 에너지로 저장한다.

 

에꼬는 수소 연료 전지는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전기를 생산하며 유일한 부산물은 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은 저탄소 배출 차량의 채택을 가속화하려는 정부의 전략과 일치한다고 말했다.

 

교통부는 이미 버스와 트럭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수소 연료 전지의 잠재적 필요성을 분석했다

 

초기 추정에 따르면 일부 버스를 수소 연료로 전환하려면 2040년까지 6기가와트시(GWh)의 전력이 필요하며이는 21만 톤의 수소에 해당하는 양이다.

 

반면다른 대형 운송 차량을 전환하려면 같은 기간 동안 4.88킬로톤의 수소에 해당하는 161GWh의 전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기차의 국내 생산과 판매를 장려하기 위해 세금 인센티브를 시행했지만 수소차에 대해서는 아직 비슷한 규정을 만들지 않았다.

 

에너지광물자원부의 다양한 재생에너지 엔지니어링 및 환경 코디네이터인 또니 수산디는 같은 행사에서 정부가 수소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일부 규정을 개정하여 규제 격차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산디는 누산따라의 수소 수요는 현재 확정 중인 국가 수소 및 암모니아 로드맵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부는 또한 수소 발전소를 포함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부터 전기를 구매하는 조항을 포함하는 정부 규정 제14/2012호 개정을 준비하고 있다수소 기술에 대한 사업 허가 및 면허도 에너지부에서 아직 논의 중이다.

 

필수서비스 및 개혁연구소(IESR)의 파비 뚜미와 전무이사는 지난 17, 단일 기술에 전념하는 것은 비용 효율적이고 포괄적인 친환경 솔루션을 제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대신 더 광범위한 "탄소 제로 차량의무를 제안했다.

 

또한 수소가 지속가능하려면 탄소배출이 단순히 한 부문에서 다른 부문으로 이동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생산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신수도에서 수소를 의무화하면서 다른 곳에서는 석탄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것은 그 목적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수소는 버스나 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에 잠재적인 이점이 있지만파비는 이 기술을 승용차에 적용하면 배터리 기반 전기차에 비해 킬로미터당 연료비가 더 많이 든다고 강조했다.

 

당국 현재 수소전기차는 주로 일본과 한국 기업이 제조하고 있다

 

업계 간행물인 하이드로겐 인사이트(Hydrogen Insight)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2023년에 넥쏘(Nexo) 연료전지전기차(FCEV) 4,709대 판매하며 수소차 판매량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도요타(Toyota)는 같은 해 미라이(Mirai) 모델로 3,700대 이상을 판매하며 그 뒤를 바짝 쫓았다.

 

파비는 정부가 특정 기술이나 제조업체의 이해관계를 우선시하지 않도록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도네시아는 배터리 및 수소 자동차 외에도 바이오 연료특히 디젤 연료와 팜원유를 가공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FAME)를 혼합하여 생산하는 바이오 연료의 생산과 사용을 늘리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자카르타포스트/자카르타경제신문]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공지사항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