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해외 순익 1조 시대…印尼, 규모‧성장률 ‘탄탄’ > 경제∙비즈니스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비즈니스 은행 해외 순익 1조 시대…印尼, 규모‧성장률 ‘탄탄’ 금융∙증시 편집부 2018-08-29 목록

본문

신흥국 위기론에도 고성장
금융성숙도 낮아 잠재력 커
 
 
국민과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은행의 올해 해외 순익 1조원 돌파가 유력한 가운데, 인도네시아가 규모와 성장률 면에서 알짜 수익원으로 꼽혔다.
 
4대 은행들의 올해 상반기 글로벌 순익을 지역별로 따져보면 규모 기준 ‘빅 3’는 중국(750억4,500만원)과 베트남(621억5,800만원), 인도네시아(569억8,000만원)다. 이 중 베트남은 신한이 독주하는 시장이다. 지난해 말 호주계 은행 ANZ의 리테일부문 인수까지 하면서 순익 중 94%(586억1,300만원)를 신한이 차지했다.
 
중국은 4대 은행이 일찍부터 갈고 닦아, 규모 뿐 아니라 성장률(123.1%)에서도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하나(447억5,900만원)와 국민(80억1,700만원)에서는 해외 사업 중 중국에서 가장 큰 순익을 냈다.
 
눈에 띄는 곳은 인도네시아다. 우리은행은 글로벌 부문 중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많은 순익(224억100만원)을 냈다. 하나는 중국 다음으로 인도네시아의 순익 규모(297억7,600만원)가 크다. 신한에서는 인도네시아가 중국이나 베트남, 일본(SBJ) 등에 밀려 순익 규모(48억300만원) 5위지만, 순익 증가율은 428.4%로 가장 높다. 국민은 지난달 인도네시아 부코핀 은행 지분 인수로 뒤늦게 뛰어들어, 인도네시아는 중국에 이어 국내 4대 은행이 각축전을 벌이는 두번째 시장이 됐다.
 
인도네시아는 미국의 양적 완화 시절 도입한 외채에다 아시안게임 준비로 들인 단기 외채까지 더해져 신흥국 사이 ‘불안한 고리’로도 지목되고 있다. 터키의 리라화 폭락 이후 루피아화의 가치도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자체의 펀더멘탈은 양호한 편으로 세계은행이나 국제통화기금(IMF) 등도 5%대 성장률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계좌보유율이나 GDP 중 금융산업이 차지하는 비율 낮아 그만큼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