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관광부는 스포츠관광 육성을 통해 올해 1,500만명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한다. 관광부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관광 상품 목적별 비율은 문화관광이 60%, 자연관광이 35% 인공적 자원(Man-made) 관광이 5%로 나타났다. 인공적 자원 관광의 5% 가운데 스포츠관광 비율이 40%로, MICE(회
경제∙일반
2017-03-02
조꼬위 대통령이 인도네시아 경제 발전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확인했다. 조꼬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지난 28일, 인도네시아가 독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2045년에 인도네시아 국내 총생산(GDP)이 9조 1천억 달러에 달해 1 인당 GDP가 2만 9천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인도네시아 인구는 3억 1천만에
인도네시아 소비자 신뢰 지수가 하락해 최저치를 보였다. 인도네시아 국영 증권사 다나렉사 증권 산하의 다나렉사 리서치 연구소가 1일 발표한 2월 소비자 신뢰 지수(IKK)는 전월 대비 0.6% 하락한 95.6이었다. 이는 2015년 11월 이후 15개월 만에 보인 최저치였다. 조사는 전국 6개 지역의
마따하리 백화점의 매출 및 순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최대 백화점 체인인 마따하리 백화점이 2016년 12월 사업 결산을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결산은 순이익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한 2조 200억 루피아로 매출액은 8.3% 증가한 17조 2,940 루피아였다.
인도네시아 공공사업국민주택부 산하 고속도로통제청(BPJT)은 서부 자바 수까부미~찌란장~빠다라랑 고속도로(총 60킬로미터)의 건설·운영을 맡을 국영 기업으로 와스끼따 까르야(Waskita Karya)의 자회사 와스끼따 톨로드(PT Waskita Toll Road)와 도로 공단 자사 마르가(Jasa Marga)를 지정했다.
건설∙인프라
2017-03-01
도요타(Toyota)는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판매된 하이브리드 차량 대수가 2007년부터 올해 2월 중순까지 총 1,473대 였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판매 자회사 도요타 아스트라 모터(TAM)의 프란시스쿠스 판매 본부장은 “인도네시아에서
유통∙물류
인도네시아 대기업 아스트라 인터내셔널(PT Astra International Tbk, 이하 ASII)은 27일 2016년 12월 결산 순이익이 전년 대비 5% 증가한 15조 2,000억 루피아(약 1조 2,889억 원)였다고 발표했다. 금융 부문 이익이 대폭 감소했지만 팜 원유(CPO) 가격 회복에
인도네시아 조꼬 위도도 대통령은 26일 턴불 호주 총리와 시드니에서 진행된 회담에 따라 호주산 설탕에 대한 관세를 5%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한편, 호주는 인도네시아산 살충제와 제초제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기로 결정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7일자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가정의 설
무역∙투자
인도네시아 정부는 수출 확대를 위해 아프리카 등 신시장 개척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고 있다. 작년 수출액은 전년 대비 4% 감소한 1,444억 3,400만 달러(약 163조 659억 원)로 떨어졌지만 올해는 5.6%의 성장을 목표로하고 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1일자
인도네시아 국영 공항 운영사 앙까사뿌라1(AP1)은 중부×동부 지역의 6개 공항 건설 및 확장 공사를 가속화하기 위해 54조 루피아(약 4조 5,792억 원)를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자 자금은 회사채 발행과 은행 대출로 조달될 예정이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
교통∙통신∙IT
혼다 인도네시아(PT. Honda Prospect Motor)는 지난 27일 저부 자바주 까라왕 지역에 위치한 자동차 조립 공장에서 사륜차 생산 100만 대 기념식을 열었다. 2003년 2월 제 1공장을 가동한 이후 약 14년간 사륜차를 제조, 판매해왔다. 당시 연간 판매대수 2만대에서, 2016년 약 20만대로 약 10배 이상 연간 판매대수가 늘었다.&n
쁘르따미나가 필리핀 시장을 노리고 있다.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 쁘르따미나는 필리핀 시장에 디젤 및 항공기 연료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쁘르따미나 측은 “대부분의 원유는 인도네시아 국내용으로 정유되고 있으나 디젤 및 항공기 연료에 대해서는 35% 정도의 잉여 생산분이
에너지∙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