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프 인도네시아 법인 샤프 전자 인도네시아(SEID)는 스마트 TV 신 모델을 발표했다. SEID 관계자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LCD TV 점유율 목표를 20%로 정했으며 4월까지의 점유율은 17.5%라고 밝혔다. 아울러 TV 신 모델을 투입해 점유율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통∙물류
2017-06-08
인도네시아 주력 차종이자 인기 차종인 소형 다목적 차량(LMPV) 시장이 신모델 투입으로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현재까지 일본계 기업이 시장을 독식하는 듯한 형태가 계속되어 왔으나 향후 시장이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올해 중반부터 하반기에 걸쳐 미쓰비시 자동차와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중국기업이
교통∙통신∙IT
인도네시아의 부동산 개발회사 시나르마스 랜드(Sinar Mas Land)는 반뜬 땅으랑의 복합 개발 지구 부미 세르뽕 다마이(BSD)에서 사무실 등의 시설 운영과 임대 수익 강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5일자 보도에 따르면 BSD의 헤르마완 위자야 이사는 "향후 5년간 쇼핑몰
무역∙투자
2017-06-07
팜원유(CPO) 수출 관세가 지난달에 이어 6월에도 0%를 유지한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4일자 보도에 따르면 엥가르띠아스또 루끼따 무역장관은 “6월 톤당 CPO 가격이 전월 대비 1.2% 하락한 723.37달러(약 81만 174원)로 설정했다. 수출 관세 과세 기준 가격인 톤당 750달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중장비 판매 대기업 유나이티드 트랙터스(PT United Tractors, UT)의 중장비 1~4월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1,186대를 기록했다. 특히 4월 판매량은 339대로 월간 최대치를 기록했다. 용도별 판매량 비중을 살펴보면 광업용 중장비가 작
인도네시아 정부는 외국계 5개사가 중부 자바주에 신발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사의 총 투자액은 6억 달러(약 6,720억 원)에 달하며 생산능력은 연산 총 3,000만 켤레로 예상된다. 현지 언론 꼰딴 5일자 보도에 따르면 산업부 화학·섬유·
건설∙인프라
인도네시아 국영 증권사 다나렉사 증권 산하의 다나렉사 리서치 연구소가 5일 발표한 5월 소비자 신뢰 지수(IKK)는 전월 대비 1.6% 상승한 99.2이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6개 지역의 약 1,7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IKK 구성 지수 가운데 현황지수(ISS)는 1.8% 상승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현재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억제한 저탄소 차량(LCEV, Low Carbon Emission Vehicle)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에 대한 우대 규정이 연내 확정될 전망이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5일자 보도에 따르면 산업부 해양·교통국의 얀 시바랑 국장은
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의 MRO(항공정비수리) 자회사 GMF에어로아시아(PT Garuda Maintenance Facility AeroAsia)가 각국의 항공사와의 사업 제휴를 통해 항공정비(MRO)산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달 나이지리아 항공사와 이와 관련해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
아사히 그룹이 인도네시아 포장재 사업 확장에 나선다. 일본 화학기업 아사히카세이 그룹이 인도네시아에 신규 공장을 건설할 전망이다. 브라질 등에서도 사업을 전개 중인 아사히카세이는 자카르타 인근 약 6,200 평의 토지를 구입 2018년 착공을 예정하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 기업의 식품 및 의
인도네시아 최대 민간 은행인 센트럴 아시아 은행(BCA)는 카드 없이도 ATM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 서비스는 휴대폰에 설치된 BCA 애플리케이션으로 받은 현금 인출용 코드를 전화번호와 함께 ATM에 입력하면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BCA 모바일 뱅킹
금융∙증시
딴중 르숭 지역 경제 특구 개발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인도네시아 부동산 대기업 까와산 인더스트리 자바베까(PT Kawasan Industri Jababeka Tbk, 이하 KIJA)는 서부자바 반뜬 주 유명 휴양지인 딴중 르숭(Tanjung Lesung) 경제 특구지역(Kawasan Ekonomi Khu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