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자동차 제조업 협회 (GAIKINDO)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의 모터쇼 '가이낀도 인도네시아 국제 모터쇼(GIIAS) 2017'이 20 일 폐막했다. 10일부터 열린 행사에는 40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 기간 동안 계약된 자동차 대수는 2만 1,000대 이상이 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모터쇼가 후반기 자동차 판매의 기폭제가
교통∙통신∙IT
2017-08-23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이 22일(현지시각) 예상밖의 금리인하를 단행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첫 금리인하로, 경제 성장이 시장과 정책자들의 기대에 못 미치자 부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이날 기준금리인 7일물 역레포 금리를 25bp 인하했다. 이에 따라 금리는 4.50%로 낮아졌다. 이는 시장 전문가들
금융∙증시
구글이 인터넷 연결 상황이 좋지 않은 인도네시아 지역 사용자를 위해 간소화 버전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내놨다. 16일(현지시간) 안드로이드 폴리스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인도네시아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서치라이트(Search Lite)' 앱을 시범적으로 출시했다. 이 앱
2017-08-22
세계 4대 커피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에서 인스턴트 커피 시장이 조명을 받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유로모니터 자료를 인용해 인도네시아 커피시장의 규모가 2011년부터 평균 18.9%씩 성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지난해 집계된 인도네시아의 커피시장 규모는 3조 7526억루피아(약 3200억원)다. 이 가운데 원두시장은
경제∙일반
인도네시아에서 미니마켓 ‘알파마트(Alfamart)’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는 소매 대기업 숨버르 알파리아 뜨리자야(PT Sumber Alfaria Trijaya)는 18일 자회사인 숨버르 인다 레스따리(PT Sumber Indah Lestari, SIL)와 배송과 물류 부문 사업을 담당할 합작 자회사 숨버르 와하
유통∙물류
인도네시아 복합 기업 시나르마스 그룹의 금융 지주 회사 시나르마스 물띠아르따(PT Sinarmas Multiartha)가 미츠이 수미토모 인슈런스(Mitsui Sumitomo Insurance)와 절반씩 출자해 설립한 시나르마스 MSG 라이프(Sinarmas MSIG Life)의 지분을 매각할 의향을 밝혔다.  
인도네시아 복합 기업 리뽀 그룹(Lippo Group)은 서부 자바 브까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형 도시개발공사 ‘메이까르따(Meikarta)’의 제1기 사업으로 지난 5월에 출시한 분양 아파트 22만 5,000 가구 중 9만 9,300 가구가 팔렸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뗌뽀 18일자 보도에
건설∙인프라
자동차용 배터리 제조 대기업 GS유아사(GS Yuasa)의 인도네시아 유통업체 산띠 요가(PT Santi Yoga)는 GS유아사 제품의 국내 자동차·오토바이용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50%로 끌어 올리겠다고 밝혔다. 신제품 출시 등으로 목표 달성에 노력할 방침이다. 현지 언론 꼰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가 발전소 노동자에 대한 새로운 에너지광물장관령을 공포했다. 2001년에 발표된 에너지광물장관령에 대한 개정령으로 국내 발전소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인증 절차 간소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18일자 보도에 따르면 에너지광물자원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에서 동쪽 공업 지역을 연결하는 찌깜뻭 고속도로(tol Cikampek)의 교통 정체 완화를 위해 차량 번호판 홀짝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이 고속도로는 현재 LRT(경전철)와 고가도로 건설 공사로 심각한 교통 체증을 겪고 있다. 우선 오전 6시~9시 브까시-자카르타
지난달 22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 하이퐁시 중심가는 평소 주말과 달리 교통체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었다. 커피전문점 스타벅스가 수개월 동안의 인테리어 공사를 마치고 이날 오전 문을 열었는데, 이곳 커피를 맛보려는 하이퐁 시민들이 대거 몰리면서 주변 교통이 마비된 것. 한 현지인은 “대기 줄이 바깥 인도와 차도까지 이어지면서 30분 이상 기
인도네시아가 주요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인도네시아에 투자하는 랩, 펀드 등의 상품도 잇달아 출시되는 중이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가 아세안 최대 경제권이자 유망한 생산 및 소비시장으로서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포스트 차이나'란 평가도 나올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