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영 항만 운영사 쁠라부한 인도네시아3(PT Pelabuhan Indonesia3, 쁠린도3)은 11일, 발리 베노아 항구의 수심 9미터에서 12미터 확장 보수 공사가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길이 350미터 이상의 크루즈 선박도 기항 가능하게 된다. 현지 언론 꼰딴 12일자 보도에 따
건설∙인프라
2019-03-14
인도네시아 건설 및 부동산 회사인 찌뜨라 뿌뜨라 리얼티(PT Citra Putra Realty Tbk, 이하 CLAY)가 올 들어 1,700%나 오른 주가로 주목을 받고 있다. 올해 1월에 주식시장에 상장된 이 주식은 최초 공모가에 비해 올 들어 1,700%나 올랐다. 건설업과 동시에 호텔과 식당을 운영하는 C
금융∙증시
인도네시아 중장비 판매 대기업 유나이티드 트랙터스(PT United Tractors Tbk, 이하 UT)는 코마츠(Komatsu) 중장비의 1월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15% 증가한 465대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점유율은 44%로, 올해는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광업 분야의 중장비 수요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연초 판매 대
유통∙물류
인도네시아의 전선 및 케이블 시장이 밝은 전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전선 및 케이블 시장은 매년 평균 5%대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가 인프라에 과감한 투자를 하면서 전력 송배전과 통신망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절연전선과 케이블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유망 시장으로 여겨지는 것. &n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정부는 석유와 천연가스의 공급 부족 해소를 목표로 석유·천연가스 탐사에 11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국영 안따라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석유·천연가스 생산은 지난 2015년부터 목표 생산량을 밑돌고 있다. 알 찬드라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차관은 지난달 18일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에너지∙자원
일본 기업 소지쯔(Sojitz)는 11일 인도네시아 수마뜨라섬에서 일반탄 탄광을 가지고 있는 바라 알람 우따마(Bara Alam Utama)의 전체 지분(30%)를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매각 대상이나 금액, 시기 등은 아직 알리지 않았다. 현지 언론 드띡 11
인도네시아 배차 서비스 대기업 고젝(Gojek) 등 2개사는 배차 외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고젝은 전자 화폐 고페이(Go-pay)를 통한 핀테크 사업에, 싱가포르 계의 그랩(Grab)은 그랩푸드(Grab Food)로 배달 서비스에 집중하며 각각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하고 있다. &nbs
교통∙통신∙IT
인도네시아 동부 깔리만딴의 말로이 바뚜따 트랜스 깔리만딴 경제특구와 딴중 빈가 블리뚱 관광특구가 각각 14일과 16일에 운영을 시작한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1일자 보도에 따르면 블리뚱 관청의 헤르만또 관광부장은 “딴중 빈가 블리뚱 관광특구는 접근 도로 및 각종 인프라 시설 공사
인도네시아 자동차제조업협회(가이킨도)에 따르면, 1월 완성차(CBU) 수입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3% 감소한 3,095대였다. 수출 대수는 17% 증가한 2만 1,889대, 생산 대수는 9% 감소한 10만 6,279대였다. 소매 판매는 8% 감소한 8만 6,911대를 기록했다. 현지 언론 꼰
무역∙투자
일본의 음식점 사업을 다루는 다이닝 이노베이션(Dining Innovation)은 7일,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고깃집 ‘야키니쿠 라이크(Yakiniku Like)’를 4월 25일에 오픈한다고 밝혔다. 매장은 중앙 자카르타의 상업시설 '그랜드 인도네시아' 5층에 들어간다.&nb
2019-03-13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와 동부의 공업 지역을 연결하는 찌깜뻭 고속도로의 고가도로(제2 찌깜뻭 고속도로) 공사가 당초 계획했던 6월 이슬람 최대 명절 르바란 시즌까지 끝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공사진행률은 71%이다. 현지 언론 뗌뽀 8일자 보도에 따르면 제2 찌깜뻭 고속도로는 교통량이 많은
말레이시아에 본사를 둔 저가 항공사(LCC) 대기업 에어아시아 인도네시아(Airasia Indonesia)가 국영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PT Garuda Indonesia) 산하의 LCC 시티링크(Citilink) 인수를 언급하고 있는 것에 대해, 가루다 항공의 아리 사장은 “공식적 요청이 있어도 응하지 않을 생각&rd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