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섬 1천㎿급 화력발전소 2기 건설 계약…2024년 완공 예정 두산중공업은 인도네시아에서 화력발전소 2기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인도네시아 국영 건설업체인 HK와 구성한 컨소시엄을 통해 수주했으며 총공사비 약 2조9천억원 가운데 두산중공업의 수주 규
에너지∙자원
2019-03-22
인도네시아 가구 제조업체 그마 그라하사라나(PT Gema Grahasarana)는 호주의 가구 수출량을 현재 연간 3~4컨테이너(약 250입방미터)에서 2배로 끌어 올릴 목표이다. 인도네시아와 호주 양국이 4일 체결한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이 내년에도 발효되면, 인도네시아에서 수입품에 부과되는 관세는 완전
무역∙투자
혼다 인도네시아 사륜 제조 판매 법인 혼다 프로스펙트 모터(PT Honda Prospect Motor, HPM)는 정부가 추진하는 '저비용 그린카(LCGC)' 정책 준수 차량인 ‘브리오 삿야(Brio Satya)’와 시티카 '브리오 RS(Brio RS)'의 두 신 모델의 판매 대수가 총
유통∙물류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18일 국영 조사회사 서베이어 인도네시아(PT Surveyor Indonesia)가 이날 서부자바주 보고르 순떠르에 윤활유 시험 연구소를 개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험 연구소는 9월부터 국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윤활유에 국내기준(SNI) 취득 의무화와 관련해 건설됐다. &nbs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저가항공사(LCC) 라이온 에어(PT Lion air) 산하의 택배 부문 라이언 퍼셀(Lion Parcel)은 국영 철도 끄레따 아삐 인도네시아(PT Kereta Api Indonesia, KAI)의 물류 자회사 끄레따 아삐 로지스틱(PT Kereta Api Logistik, KALOG)와 업무 제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
교통∙통신∙IT
인도네시아 국영 농장 쁘르끄부난 누산따라5(PT Perkebunan Nusantara V, 이하 PTPN5)는 리아우 주 쁘깐바루(Pekanbaru)에서 바이오 가스를 이용한 발전소를 가동했다고 밝혔다. 현지 뉴스 사이트 드띡닷컴에 따르면, 가스는 팜유 착유 공정에서 나오는 유출물에서 생성 및 회수된다. 출력은 700kW로 생성된 전
인도네시아의 대·중견 9개 은행의 종업원 수가 2018년 기준 22만 4,047명으로 2016년 대비 약 1만 9,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화로 인해 금융업계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20일자 보도에 따르면 9개 은행의 지난 5년간 데
금융∙증시
인도네시아 부동산 개발·의료 사업 기업 리뽀 까라와찌(PT Lippo Karawaci)의 2018년 12월기 연결결산은 매출이 전년 대비 18% 증가한 12조 4,602억 루피아였다. 순이익은 1조 7,261억 루피아로 전년 대비 2배 증가했다. 서부 자바 주 브까시에서 추진 중인 대형 도시 개발 사업 ‘메이까
인도네시아 교통부 철도국은 20일 서부 자바의 끄르따자띠 신국제 공항과 반둥, 찌르본 등 2개 도시를 연결하는 철도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두 도시와 끄르따자띠 공항의 철도 인프라를 구축해 편리성을 높인다. 현지 언론 드띡 20일자 보도에 따르면 중앙 자카르타
건설∙인프라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이 발표한 1월 말 기준 대외 채무 잔액은 3,833억 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말부터 7.2% 증가, 증가율은 전월의 6.9%에서 약간 상승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대외 채무 비율은 36%로 전월 대비 보합세였다. 중앙은행 채무를 포함한 국가 채무는 전년 동월 대비 3.7
인도네시아 자동차제조업협회(가이킨도)에 따르면, 2월 신차 판매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 감소한 8만 1,684대였다. 2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1~2월 판매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16만 3,675대로 나타났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9일자 보도에 따르면 상
2019-03-21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올해 신발 수출액이 전년 대비 약 27% 증가한 6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도네시아는 호주와 스위스 등과 각각 유럽자유무역연합(EFTA)과 포괄적경제협력협정(CEPA)을 체결해 향후 수출 시장이 더욱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4년 후에 수출 규모가 100억 달러 이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