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영 공항 운영사 앙까사 뿌라2(PT Angkasa Pura2, AP2)는 최근 수도 자카르타의 관문인 수까르노-하따 국제공항 제3터미널의 국제선 영역에 수면용 간이 침실 ‘슬리핑 팟(Sleeping Pods)'를 설치한다고 발표했다. 16일자 자카르타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이용 개시일과 이용 가격 등은
교통∙통신∙IT
2019-05-23
올해 인도네시아의 커피 원두 생산량이 지난 4년 중 최대가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커피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기고 있다. 블룸버그통신과 현지 자카르타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세계 로브스타 원두 3위 생산국인 인도네시아는 앞으로 수 개월 내 지난해 보다 5% 이상 많은 69만t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미 농무부
에너지∙자원
한국타이어의 인도네시아 법인 한국타이어 인도네시아(PT Hankook Tire Indonesia)가 앞으로도 매출의 92%를 차지하는 수출에 주력할 방침을 밝혔다. 한국타이어의 아프리얀또 인도네시아 판매 담당 매니저는 "내수 판매가 겨우 8%이고 나머지 92%는 해외 시장에 수출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유통∙물류
인도네시아의 주요 일본계 자동차 브랜드의 4월 신차 판매 대수(딜러에 출하 기준)는 전년 동월 대비 19% 감소한 7만 9,100대였다. 전월 대비 5% 감소했다. 상위 8개 브랜드 중 최고였던 도요타를 제외한 7개 브랜드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8개 브랜드의 1~4월 누계 판매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32만 12
2019-05-22
영국의 하이테크 시장조사회사 카날리스(Canaly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0~12월) 인도네시아의 스마트폰 시장은 한국 삼성전자와 중국 샤오미, 오뽀(OPPO), 비보(VIVO), 인도네시아 로컬 브랜드 아드반(Advan) 등 5개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의 80%를 차지했다. 5개사의 점유율은 지난 2017년의 65%에서 크게
인도네시아 타이어협회(APBI)는 국내 타이어 업체들은 원료의 50~6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타국과의 가격 경쟁에 대항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정부에 타이어 산업의 상류 부문 투자 유치를 추진하도록 요구했다. 현지 인베스터데일리 등의 보도에 따르면, APBI의 아지즈 회장은 합성 고무의 국내 생산 능력이 연간 12만 톤인
무역∙투자
CJ CGV는 올해 상반기 중 인도네시아 영화시장의 관객 동원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지 매체 꼰딴(Kontan)의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시네마 콤플렉스(복합 영화관) 'CGV 블리츠(CGV Blitz)'를 운영하는 그라하 라야르 프리마(PT Graha Layar Prima, 이하 GLP)의 마
인도네시아 자동차 판매 대기업 아스뜨라 인터내셔널(PT Astra International)은 17일 산하 4개 제조업체의 4월 총 판매 대수가 전년 동월 대비 7% 감소한 4만 7,516대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 그룹의 시장 점유율은 57%로 전년 동월 대비 7포인트 상승했다. 시장 전체
인도 자동차 업체 타타 모터스(Tata Motors) 산하의 영국 고급차 메이커 재규어 랜드로버(Jaguar Land Rover)는 인도네시아에서 고급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인 신형 '레인지 로버 이보크(Land Rover Evoque)'를 연내 발매한다고 밝혔다. 또한 재규어 최초의 전기 자동차(EV)
인도네시아 항공 각사가 18일 국내선 일반석 운임료를 인하했다. 교통부가 이날 항공 운임의 상한 금액을 12~16% 인하한 규정을 발효한데 따른 조치이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0일자 보도에 따르면 자카르타의 수까르노 하따 국제공항~발리 노선의 20일 시점 운임
인도네시아 팜오일산업연맹(GAPKI)에 따르면 1분기(1~3월) 팜오일(CPO)과 팜 관련 제품(바이오 디젤 및 유지 화학 제품 등)의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910만톤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수출량은 784만톤이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17일자 보도에 따르면 GAP
인도네시아 국영 광업 지주회사 인도네시아 아사한 알루미늄(PT Indonesia Asahan Aluminium, 이하 이날룸)은 리튬 전지 재료를 생산하는 중국의 화유 코발트(Zhejiang Huayou Cobalt Company)와 협력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화유 코발트는 인도네시아에서 니켈 제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