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PT Garuda Indonesia)은 7월 14일부터 10월 21일까지 자카르타-일본 오사카 간사이공항 노선 일부를 운휴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드띡 6월 29일자 보도에 따르면 운휴하는 자카르타에서 간사이 공항행의 GA888 (월, 수, 일요일 주 3회) 중 일요일에
교통∙통신∙IT
2019-07-03
인도네시아에서 디젤을 수입하고 정부의 보조금 지급 대상 디젤 연료 솔라(Solar)를 판매하고 있는 연료·화학 물질 유통 대기업 AKR 코르뽀린도(PT AKR Corporindo)는 비용 절감을 위해 국영 석유 쁘르따미나(PT Pertamina)에서 솔라를 조달하고 싶다는 의향을 밝혔다. 에너지광물자원부는 양측이 대화해 나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교통부 산하의 자카르타 수도권 교통운영국(BPTJ)의 밤방 청장은 자동차의 배차 앱 서비스 사업 허가 신청 시 부과되는 수수료에 대해 개인 및 중소∙영세 기업에 대해서는 인하하도록 관계 부처에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1일자 현지 자카르타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자카르타 수도권에서는 법인과 동일한 500만 루피아가 수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대량고속수송시스템(MRT) 운영회사 MRT 자카르타(MRT Jakarta)는 올해 3월에 개통한 제1기 구간을 연장하는 제2기 공사에 대해 7개 역을 포함한 전 구간(8.3km)을 지하에 건설할 계획을 밝혔다. 지난달 21일자 자카르타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MRT 자카르타의 윌리엄 사장은 "지상의 토지
인도네시아 자동차제조업협회(가이킨도)에 따르면, 5월의 신차 판매 대수(딜러에 출하베이스, 확정치)는 전년 동월 대비 16% 감소한 8만 4,146대였다. 27개 브랜드 중 19개 브랜드가 감소했다. 중국 동풍소콘(DFSK, 이하 동풍자동차)은 전년 동월인 30대에서 약 18배 증가한 528대였다. 4월 출시한 소형 스포츠 유틸리티
유통∙물류
수출입은행은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가스공사인 쁘르따미나(PT Pertamina)와 15억달러 규모의 '기본여신약정(Framework Agreement, 이하 FA)'을 맺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약정은 수은이 인도네시아 국영기업과 맺은 첫 FA이자, 쁘르따미나가 다른 나라의 수출금융기관과 맺은 최초의 FA라고 수은은 설
인도네시아 보크사이트 광산회사 찌따 미네랄 인베스띤도(PT Cita Mineral Investindo, CITA)는 서부 깔리만딴의 알루미나 제련소 제2기 공사를 연내 착수한다고 밝혔다. 사업비는 4억 달러로 2021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일자 보도에 따르면
건설∙인프라
조꼬 위도도(통칭 조꼬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수도 자카르타 하늘의 관문인 수까르노-하따 국제공항에 건설 중인 제3활주로에 대해 "아마도 7월에 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공사 진행 비율은 86% 정도다. 조꼬위 대통령은 이날 건설 현장을 불시에 시찰 방문하여 "공사가 6월 말까지 완료되
2019-07-02
인도네시아 재무부는 정체되는 국내 부동산 산업을 촉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다섯 가지 세금 혜택 중 중 고급 주택의 매매에 부과하는 선납소득세(pph22)의 세율을 기존 5%에서 1%로 인하하는 재무 장관령을 제정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24일자 현지 각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다른 세금 혜택으로는 ◇저소득자용 주택에 부과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정부는 내년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공항 7개소의 건설에 착수하는 것을 비롯해 도로와 철도, 항만 등 국내 인프라 정비를 추진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현지 매체 드띡닷컴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은 지난달 24일 열린 내년도 국가 우선 사업에 관한 회의에서 논의됐다.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청(바뻬나스)의
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PT Garuda Indonesia)은 6월 27일 서부자바주 반둥-발리 덴파사르 항공편의 운항을 6월 30일부터 반둥시의 후세인 사스뜨라느가라 국제공항(반둥 공항)에서 서부자바주 마잘렝까군 끄르따자띠 국제공항으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현지 언론 꼰딴 6월 28일자 보도에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는 폐기물 발전시설 3개소의 사업자 선정 입찰을 연내 실시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2019~2022년 국내 12개 지역에서 폐기물 발전시설을 가동할 목표이다. 현지 언론 꼰딴 6월 27일자 보도에 따르면 반뜬 땅으랑과 땅으랑 슬라딴, 서부자바주 반둥 등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