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이와 소니 산하의 소니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즈(Sony Network Communications)는 최근 인공지능(AI) 개발, 판매 등을 다루는 글로벌 AI 이노베이션 연구소(GAILABO)를 설립했다. 금융회사의 대손 위험 억제 등을 목적으로 SaaS에서 필요한
교통∙통신∙IT
2019-10-14
인도네시아 국영 공항 운영사 앙까사 뿌라2(PT Angkasa Pura2, 이하 AP2)는 9일 자동차 판매 대기업 아스뜨라 인터내셔널(PT Astra International)의 자회사인 아스뜨라 디지털 인터내셔널(PT Astra Digital International)과 수까르노-하따 국제공항에서 실시하는
인도네시아에서 상용차 시장 점유율의 90%를 차지하는 일본 브랜드 3개사는 1~8월 신차 판매량이 부진을 겪고 있지만 하반기(7~12월)에 회복하길 기대하며 당초 목표량은 수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8일자 보도에 따르면 히노 자동차의 인도네시아 판
유통∙물류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2023년 석유화학제품의 수입액을 50%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최대 석유화학기업 찬드라 아스리 페트로케미컬(PT Chandra Asri Petrochemical, 이하 CAP)과 한국계 화학 업체인 롯데케미칼타이탄(PT Lotte Chem
무역∙투자
인도네시아 농지·도시계획부는 사업허가 취득의 조건 중 하나인 환경영향평가(AMDAL)를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투자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인허가 절차들을 폐지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으로건축허가(IMB) 폐지 가능성도 시사했다. 현지 언론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시멘트협회(ASI)에 따르면, 1~8월 국내 시멘트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4,203만 톤이었다. 9일자 현지 매체 꼰딴에 따르면, 주요 수요 시장인 자바섬과 수마트라섬에서 판매량이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지역별 판매량은 자바섬이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한 2,347만 톤, 수마
올해 인도네시아의 국가경쟁력이 세계 50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하 WEF)의 2019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국가경쟁력 종합 순위는 141개국 가운데 50위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45위에서 1년 새 5계단 하락한 순위다. WE
인도네시아 석유및가스하류조정기관(BPHMigas)은 보조금 대상 경유의 소비량이 올해 예산에 설정된 할당량을 초과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 것에 대해, 11월 초순에 검증을 실시할 방침을 분명히 했다. 지난 4일자 인베스터데일리 등에 따르면, 9월 25일 시점의 소비량은 1,167만㎘(킬로리터)로 올해 할당량(1,450만㎘)의 80%에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은 지난 7일, 9월의 외환 보유액이 8월 말 시점에서 1.7% 감소한 1,243억 3,200만 달러였다고 발표했다. 전월 대비 감소하는 것은 4개월만이다. 중앙은행은 전월 대비 감소한 요인에 대해 정부의 대외 채무 상환 및 중앙은행에 시중 은행의 외화 예금이 감소한 것 등을 꼽았다.
부디 까르야 인도네시아 교통부 장관은 3일 자카르타 경전철(LRT)의 전 노선이 오는 2021년 11월에 개통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했다. 이 날짜 인도네시아 현지 매체 뗌뽀의 보도에 따르면, LRT는 이번 주 동부 자카르타 짜왕-서부 자바주 찌부부르 역 구간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한다. 부디 장관에 따르면 시험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인도네시아 노동시장이 활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저렴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 및 이용 촉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8일자 보도에 따르면 ADB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 '아시아 경제 전망(ADO)’을 통해 도시가 기업과 노동자를 묶는 노동시장의 기
2019-10-11
인도네시아 정부는 7일 서부 깔리만딴 싱까왕시에 신설하는 신공항 건설·운영 사업에 참가할 민간 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민관협력(PPP)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공항 건설 사업은 국내 최초이다. 예상 총 사업비는 4조 3,000억 루피아에 달한다. 2020년에 착공, 2023년 개업을
건설∙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