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의 바흘릴 청장은 중국의 유제품 대기업 일리 그룹(Yili Group) 인도네시아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아이스크림 공장을 설치한다. 현지 언론 안따라뉴스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바흘릴 청장은 지난 세계경제포럼 연차 총회(다
무역∙투자
2020-01-29
인도네시아 기업 10개사는 미국 기업과 협력하여 중부 아프리카 콩고에서 인프라 개발과 항공기 정비 등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10개 기업 중 국영 및 민간기업이 각각 5개사이다. 자카르타에서 22일 미국의 TSG 글로벌 홀딩스(TSG Global Holdings)와
2020-01-28
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PT Garuda Indonesia)은 올해 에어버스 항공기 4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가루다 인도네시아 이르판 사장은 “올해 예정대로 에어버스의 새로운 항공기 4대를 도입한다”라고 말하며 &ldquo
인도네시아 자동차제조업협회(가이킨도)는 2020년 자동차 및 부품 목표 수출액을 전년 대비 12~13% 증가로 잡았다. 2019년의 81억 6,050만 달러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한다. 현지 언론 인베스톨 데일리 23일자 보도에 따르면 가이킨도의 요하네스 회장은 "국내 자동차 업체들이 수출 확대를
2020-01-27
인도네시아 정부가 최근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냉동∙냉장고에 사용되는 증발기(evaporator]) 수입품에 대한 긴급수입제한(세이프가드)을 발동했다. 21일자 현지 비즈니스인도네시아의 보도에 따르면, 증발기의 세이프가드를 규정하는 재무부장관령 ‘2020년 제1호’가 지난 6일자로 공포되어 11일에 발효되었다.
루훗 빈사르 빤자이딴(Luhut Binsar Panjaitan)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은 지난 17일 미국 마이크로소프트가 인도네시아에 데이터 센터를 설립하기 위해 10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날 현지 각지 언론이 전한 바에 따르면, 루훗 장관은 수도 자카르타에서 마이크로소프트 담당자와 회담 후 “마이
2020-01-24
인도네시아 섬유판 생산업체 피버보드 인더스트리(PT Indonesia Fibreboard Industry, IFI)는 일본의 주택용 자재업체 노다에서 출자받았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꼰딴 22일자 보도에 따르면 지난 21일 노다와 자회사인 이시노마키 합판공업(Ishinomaki)이 각각 647억 루피아를 출자했다
루훗 빈사르 빤자이딴(Luhut Binsar Panjaitan)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은 지난 17일 인도네시아가 계획 중인 동부 깔리만딴주로의 수도 이전에 대해 소프트뱅크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회장으로부터 300억~400억 달러 정도 투자한다고 제안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소프트뱅크는 “구체적인 금액은 제
2020-01-23
인도네시아 초생초(DOC) 생산 대기업 잡빠 콤피드 인도네시아(PT Japfa Comfeed Indonesia)는 최근 일본과 동티모르에 장어 가공품과 새우 미끼 등을 수출했다. 수출액은 총 133억 루피아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언론 꼰딴 17일자 보도에 따르면 장어 가공품과 새우 미끼는 동부자바주 바
2020-01-22
인도네시아 국영 건설사 위자야 까르야(PT Wijaya Karya, WIKA)는 상수도 정비 시스템(SPAM)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장소 등 투자 프로젝트 관련 자세한 내용은 아직 명확하게 나오지 않았지만, 총 2조 루피아 이상의 투자를 예상하고 있다. 현지 언론
인도네시아 조꼬 위도도 대통령은 16일 새로 설립 예정인 국부펀드에 적어도 200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7일자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이 펀드에 외국 투자를 모집할 방침이다. 루훗 해양투자조정장관은 8일 "아랍 에미리트(UAE) 아부다비의 모하메드 빈 자이드
2020-01-21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BPS)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자동차 및 부품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8% 증가한 81억 6,050만 달러였다. 이 부문의 무역수지는 9억 9,93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2019년에는 수출액이 증가한 반면, 수입액이 11% 감소한 71억 6,12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18년에는 무역수지가 5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