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정부가 17일부터 국내에서 유통·거래되는 식품이나 화장품, 의약품 등을 대상으로 할랄(Halal: 이슬람 계율에 허용된 것) 인증 유무를 표시하는 ‘신할랄인증법’을 의무화했다. 5월에 공포된 할랄 제품 보증에 관한 정령 ‘2019년 제31호'에 근거한다. 식음료는 5년간,
경제∙일반
2019-10-23
OK금융그룹은 인도네시아에서 인수한 은행 2곳을 합병, 통합운영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OK금융그룹은 지난 19일 'OK뱅크 인도네시아(구 안다라뱅크)'와 '디나르뱅크' 합병식을 열었다. 각각 2016년, 2018년에 OK금융그룹에 인수된 두 은행은 앞으로는 'OK뱅크
금융∙증시
독일의 물류 기업 DHL 산하 DHL 글로벌 포워딩(DHL Global Forwarding)은 다양한 운송 수단을 이용한 멀티 운송사업 ‘아시아 커넥트+(ASIACONNECT+)'를 인도네시아에서 정식으로 시작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17일자 보도에 따르면 서비스 적용 범위는 인도네시아
유통∙물류
인도네시아에서 미니 마켓 알파미디(Alfamidi)와 로손(Lawson) 등을 운영하는 소매 대기업 미디 우따마 인도네시아(PT Midi Utama Indonesia)는 18일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 수요에 부응하는 새로운 미니마켓 미디 프레쉬(Midi Fresh) 1호점을 서부 자카르타에 오픈했다. 기존 매장에 비해 작지만 과일과 과즙
2019-10-22
인도네시아 국영 가스 PGN은 가까운 시일 내에 동부 자바 수라바야 딴중 뻬락 항구 다목적 터미널에서 액화 천연 가스(LNG) 터미널 건설 공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연내 부분 가동하며, 2023년 풀 가동을 목표로 한다. 현지 언론 리뿌딴6 18일자 보도에 따르면 PGN의 라흐맛 비서는 "환경영향평
건설∙인프라
인도네시아 국영 전력 PLN은 16일, 전기자동차(EV)와 전기 오토바이의 충전소(SPKUL) 설치를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국내외 기업 20개사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현지 언론 꼰딴 17일자 보도에 따르면 PLN와 양해각서를 체결한 20개사는 배차 앱 고젝(Gojek)과 그랩(Grab), 자카르타특별주 주영 버
교통∙통신∙IT
인도네시아 북부 자카르타에 있는 국내 최대 딴중 쁘리옥 항구의 자동차 전용 터미널(자동차 터미널)을 운영하는 인도네시아 끈다라안 터미널(PT Indonesia Kendaraan Terminal, IKT)은 연내 완성차(CBU)의 보관 야드를 2헥타르 확장한다고 밝혔다. 건설비로 500억 루피아가 들어간다. 현지
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PT Garuda Indonesia)은 국영 기업 9개사와 협력하여 2014년 2월에 거액의 빚을 지고 영업을 중지한 인도네시아 국영 메루빠띠 누산따라 항공(PT Merpati Nusantara Airliness)의 사업복귀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가루다 항공은 16일 메르빠
무역∙투자
인도네시아 자카르타특별주 교통국이 전기스쿠터(E스쿠터) 이용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방침이다. 현지 언론 뗌뽀 18일자 보도에 따르면 교통국의 샤프린 국장은 "E스쿠터를 '자전거'로 분류하며, 자전거 전용 도로에서만 E스쿠터를 이용할 수 있게 규정할 것“이라고 말하며 "(
인도네시아 정부는 상류 석유 및 가스 사업에 관한 물품의 수입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두 가지 응용 프로그램 작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국영 안따라통신의 14일자 보도에 따르면, 결과적으로 절차 기간은 기존 영업일 기준 42일에서 15일로 단축 가능하다. 이는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50% 이상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최근 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원료 조달을 지원하는 '소재센터(Material Center)'의 운영을 내년부터 본격 시작할 계획을 밝혔다. 이는 정부가 추진하는 중소기업 디지털화 추진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산업부 중소기업산업국의 가띠 국장은 "소재센터
인도네시아 이륜차제조자협회(AISI)에 따르면, 8월의 오토바이 완성차(CBU) 수출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7% 증가한 8만 1,497대로 나타났다. 단월의 수출 대수로는 사상 최대였다. 국내 판매 대수(판매점에 출하베이스, 확정치)는 5% 증가한 59만 6,887대였다. 1~8월 누적 수출 대수는 전년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