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계의 레이온 섬유 제조업체 아시아 퍼시픽 레이온(Asia Pacific Rayon, APR)은 21일 인도네시아의 리아우 빵깔란 끄린찌 공장에서 레이온 섬유의 일종인 비스코스 레이온 생산시설을 정식 가동했다. 이 공장의 연간 생산 능력은 24만톤이다. 추후 60만톤까지 끌어 올릴 계획으로 실현된다면 국내
무역∙투자
2020-02-26
인도네시아 아구스 무역장관은 19~21일 인도 뉴델리를 방문해 각종 인도 경제계 인사들과 회담을 가졌다. 아구스 무역장관은 양국 정상이 앞서 합의한 2025년 양국 간 무역 총액 500억 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인도 정부와 팜오일 수입 규제 등에 대해 협의했다. 현지 언론 꼼빠스 21일자 보
2020-02-25
인도네시아 리아우쁘깐바루에 있는 뜨나얀 라야 공단 투자에 여러 외국기업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투자원스톱통합서비스관리(DPM PTSP)에 따르면, 실현되면 투자 총액은 수십조 루피아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9일자 보도에 따르면 많은
인도네시아 농업부에 따르면, 팜원유(CPO) 1~2월 중국 수출량이 전년 동기 대비 33% 감소한 56만 7,000톤을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확산으로 농산품 중국 수출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현지 언론 인베스톨 데일리&n
2020-02-21
아이르랑가 하르따르또(Airlangga Hartarto)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 장관은 17일, 외자 기업에 투자를 개방할 분야를 정한 ‘포지티브리스트(Positive List)’의 책정에 대해 중복된 내용의 법령을 통합한 ‘옴니버스 법’ 중 세제 관련 법안과 일자리 창출 법안의 통과 전에 실현시키겠다고 밝혔다.
2020-02-20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BPS)이 17일 발표한 무역 통계에 따르면, 1월 무역수지는 8억 6,420만 달러의 적자였다.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 연속 적자로, 적자 규모도 전월의 6,170만 달러에서 크게 확대됐다. 석유가스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4% 감소한 134
2020-02-19
인도네시아 싱크탱크 경제개혁센터(CORE)는 올해 무역 적자가 전년의 32억 달러에서 16억~20억 달러로 축소될 것으로 예측했다. 자원 및 각종 지지재 수입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12일자 인베스터데일리가 전했다. CORE의 모하마드 파이살 이사장은 “국내 소비 위축과 제조업 생산 활동
2020-02-17
인도네시아 재무부 관세국은 불법 한국 수입 화장품 단속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꼰딴 10일자 보도에 따르면 헤루 관세국장은 “한국과 체결한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 상호인정약정(AEP MRA)과 전자원산지증명서(E-COO) 교환 협력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단속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rdquo
2020-02-13
인도네시아 농업부는 최근 중국산 마늘 10만 3,000톤의 수입에 대한 원예 작물 수입 추천서(RIPH)를 발행했다. 인도네시아는 원예 작물을 수입할 때 농업부의 추천서가 필요하다. 국내 재고 감소로 인해 마늘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중국산 수입품에 관한 제재를
인도네시아 교통부는 7일 싱가포르 창이공항을 운영하는 창이 에어포트 그룹(CAG)의 계열사를 중심으로 구성한 컨소시엄 찐따 에어포트 플로레스(PT Cinta Airport Flores, CAF)와 동부 누사뜽가라주 플로레스섬 라부안 바조에 있는 코모도 공항 운영에 관한 민관협력(PPP) 계약을 체결했다. 오는 5월부터 CAG가 코모도
2020-02-11
인도네시아 국영 가스 PGN 산하의 사까 에너지 무리아(Saka Energi Muriah, SEM)는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 회사 뻬뜨로나스(Petronas)의 자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중부자바주 스마랑 북부의 무리아 광구 끄뽀당 가스전 지분 80%를 취득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SEM이
올해 인도네시아 축산물 수출이 13% 증가할 전망이다. 목표로 내걸었던 17%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분석됐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0일자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가금류업체연합(GPPU)의 아흐마드 다와미 협회장은 “가축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 높은 사료 가격으로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