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자동차 타이어 제조업체들은 올해 국내 시장이 견조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4일자 현지 비즈니스인도네시아의 보도에 따르면, 신차 시장이 저조한 반면 교체 수요 등이 호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스미토모 고무 공업(Sumitomo Rubber Industries)의 현지 법인 스미토모 고무
유통∙물류
2020-02-28
인도네시아 산업부에 따르면, 전기차(EV) 프로그램의 촉진에 관한 대통령령 '2019년 제55호’의 기술 지침에 맞는 관련 규정이 오는 4월에 공포될 전망이다. 25일자 현지 매체 꼰딴에 따르면, 이달 중 초안이 완성될 예정이며 3월에 관련 부처와 관계 기관이 초안의 내용에 대해 협의한다. 인
교통∙통신∙IT
싱가포르계 차량공유서비스 대기업 ‘그랩(Grab)’과 인도네시아의 고젝(Go-Jek)이 합병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내용은 미국 뉴스 사이트 인포메이션이 25일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밝혔다. 그러나 합병 후의 사업에 관한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어 합의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라고 전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최근 미국 정부가 미국의 상계관세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지위를 누릴 수 있는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 명단에서 인도네시아를 제외한 것에 대해 그동안 관세나 시장 접근 등에서 받았던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되겠지만 걱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24일자 현지 자카르타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아이르랑가 하르따르또(A
무역∙투자
2020-02-27
바수끼 하디물요노(Basuki Hadimuljono) 인도네시아 공공사업·국민주택부 장관은 국가 전략 프로젝트에 포함된 8개의 다목적댐 건설사업이 연내에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20일자 자카르타글로브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연내에 완공 예정인 댐은 △남부 술라웨시 빠셀로렝(Paselloreng)댐(저수능력 1억 3,8
건설∙인프라
수하르소 모노아르파 바뻬나스 장관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기획부(바뻬나스, Bappenas)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2020~24년의 국가중기개발계획(RPJMN)에서 설정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당초의 5.3%에서 5%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25일자 현지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석탄협회(APBI)는 석탄과 팜원유(CPO) 수출업체가 국내 해운업체를 의무적으로 이용하도록 한 무역부장관령이 예정대로 5월 1일 발효되면 석탄 수출량이 급감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21일자 각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APBI는 국내 해운업체의 선박 수가 적은 점과 기술 지침이 규정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정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금융기관이 신규 대출 시행에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경제성장이 하락하고 부실채권이 확대될 것을 경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주택 금융을 다루는 국영 은행 따붕안 느가라(BTN)의 빠할라 은행장은 &q
금융∙증시
인도네시아 재무부가 앞서 의회에 제출한 '옴니버스법‘ 중 조세 관련법이 통과되면 정부는 국내에서 소득이 발생하는 외국계 디지털 기업 중 세금 납부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 기업의 인터넷 접속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재무부 세무국이 해당 기업의 차단
인도네시아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인한 관광 부양책으로 항공부문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26일자 보도에 따르면 항공 노선 중 10대 관광지인 바땀, 족자카르타, 마까사르, 라부안바조, 롬복, 말랑, 마나도, 실랑깃, 블리뚱, 빈딴 등으로 향하는 항공편에 인센티브
인도네시아 손해보험협회(AAUI)에 따르면, 2019년 손해보험회사의 보험료 수입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79조 7,100억 루피아이었다. 신용보험이 크게 증가해 전체 성장을 뒷받침했다. 현지 언론 인베스톨 데일리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신용보험의 보험료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는 20일, 2020~2024년의 전력분야에 대한 투자유치 목표액(신재생에너지 분야 제외) 총액 390억 달러로 설정했다. 2019년 투자 실현액은 전년 대비 6.3% 증가한 120억 달러였다. 에너지광물자원부 통신·공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