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네덜란드 석유 기업 로열더치쉘(Royal Dutch Shell)이 인도네시아 마셀라 광구 아바디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사업에 대한 지질데이터를 국제석유개발제석(INPEX)에 공개한다. 로열더치쉘의 데이터 공유는 본격적으로 마셀라 광구 개발사업 철수 절차를 밟겠다는 움직음으로 보인다.
무역∙투자
2020-08-28
인도네시아 조꼬 위도도 대통령은 25일 아쩨주 최초 고속도로로 건설되는 반다 아쩨-시글리 고속도로(74km)의 제4구간(인드라뿌리-블랑 빈땅 구간, 14km)이 완공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아쩨의 술탄 이스깐다르 무다 공항과 연결되기 때문에 물류 이동성이 향상될 전망이다. 조꼬 위도도 대통령은 "고속도로는
건설∙인프라
인도네시아 TV, 출판물, 라디오 등 기존 미디어의 광고 지출액이 7월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조사회사 닐슨 인도네시아가 25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으로 4~6월은 1~3월에 비해 광고비 지출액이 감소했다. 7월 들어 상위 10개 항목 중 9개 항목의 지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교통∙통신∙IT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특별주정부가 고층 건물의 화재안전관리 단속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자카르타 소재 고층 빌딩의 26%가 방화대책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2일에 발생한 대검찰청 빌딩 화재를 통해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정부는 판단, 화재안전 기준을 충족할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는 건물은 임시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 쁘르따미나(Pertamina)가 24일 발표한 2020년 상반기(1~6월) 실적은 7억 6,100만 달러 순손실을 기록했다. 유가 하락, 국내 연료 수요 감소, 대미 달러 루피아 약세 등 '트리플 쇼크' 영향으로 7억 4,700만 달러의 순이익을 확보한 전년 동기 대비 적자로 전락했다.
에너지∙자원
일본증권금융은 25일 인도네시아 유일의 증권 금융 회사인 쁜다나안 에펙 인도네시아(Pendanaan Efek Indonesia)에 10% 출자했다고 발표했다. 출자액은 약 4억엔으로, 4월에 인도네시아의 금융감독청(OJK)으로부터 출자에 대해 정식으로 승인을 취득, 25일까지 필요한 수속을 완료했다. 일본증권금
금융∙증시
2020-08-27
인도네시아 조꼬 위도도 대통령 인도네시아 조꼬 위도도 대통령은 24일 영세중소사업자 1,200만명을 대상으로 총 28조 8,000억 루피아 규모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17일부터 각 사업주 계좌에 사업지원금을 송금, 연내 지급 완료를 목표로 한다. 사업자 1인당 월 60만 루피아씩&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페리 총재가 24일 지난해 3억 달러 이상의 천연자원을 수출한 사업자는 외화 수익을 루피아로 환전해야 하는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루피아/달러 환율 안정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페리 총재는 의회 제11위원회(재정·개발 계획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특별주정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책인 ‘대규모사회적제약(PSBB)’을 6월 5일부터 단계적으로 완화하는 전환기에 돌입한 이후 자카르타 수도권(자보데따벡) 통근열차(KRL)의 이용자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지 언론 뗌뽀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KRL를 운영하는 끄레따
인도네시아 국영 철도 끄레따 아삐 인도네시아(PT Kereta Api Indonesia, KAI)는 23일, 족자카르타특별주 꿀론쁘로고에 있는 족자카르타 국제공항의 공항철도 운행을 재개했다. 꿀론쁘로고 국제공항 공항철도는 코로나19로 지난 5개월간 운행을 잠정 중단했다. 우선 31일까지 1일
싱가포르계 전자상거래(EC) 사이트 쇼삐(Shope)가 인도네시아에서 또꼬뻬디아(Tokopedia)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쇼삐의 올해 2분기 방문자가 월별 9천 3백만명을 기록하며 또꼬뻬디아의 8천 6백만명을 넘어섰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정부는 최근 전기자동차(EV) 등의 충전기에 관한 새로운 규정을 공포하고 민간 사업자가 충전기 등을 설치·운영 할 때의 기준 등을 규정했다. 국내에서는 정부기관 및 국영 전력 PLN이 충전기의 설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민간 기업의 참여에 의한 충전 인프라 정비 촉진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