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수도권 통근열차를 운영하는 끄레따 커뮤터 인도네시아(PT Kereta Commuter Indonesia, KCI)는 2일, 11월 승객수가 전월 대비 13% 증가한 1,145만 1,083명이었다고 발표했다. 수도권의 대규모사회적제약(PSBB)이 실시된 이래 하루 승객수가 가장 많았다
교통∙통신∙IT
2020-12-07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인도네시아의 2021년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을 4.0%로 예측했다. OECD는 1일 최신 경제전망을 발표, 9월 시점의 5.3%에서 하향조정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로 2020년에는 -2.4%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 이는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자동차제조업협회(가이킨도)는 2일, 내년 1월 9~17일 수도 자카르타에서 실시할 예정이었던 자동차전시판매회 ‘가이킨도 자카르타 오토위크(GJAW)'를 3월 6~14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가이킨도는 일정을 총 두번이나 연기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 상황
2020-12-04
인도네시아 국영 석탄 회사 땀방 바뚜바라 부낏 아삼(PT Tambang Batubara Bukit Asam, 이하 PTBA)의 남수마뜨라주에 건설 예정인 석탄 가스화 플랜트 사업이 대통령령 ‘2020년 제109호’를 통해 '국가 전략 프로젝트’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토지·건물 취득세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이륜차제조자협회(AISI)에 따르면, 가맹업체 5개사의 10월 국내 이륜차 판매 대수(확정치)는 전년 동월 대비 47% 감소한 31만 7,830대였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의 영향으로 두 자리수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 2일 CNBC 보도에 따르면 판매량이 전월 대비로는 17% 감소
유통∙물류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이 1일 발표한 11월 소비자 물가 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59%였다. 10월의 1.44%를 웃돌아 3개월 연속 전월 기록보다 높았다. 하지만 중앙은행의 목표치인 2~4%는 여전히 도달하지 못했다. 측정 대상 품목 11개 항목 중 ‘의료’, &l
2020-12-03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은 1일, 10월 인도네시아를 찾은 외국인 방문객 수가 전년 동월 대비 88.3% 감소한 15만 8,189명이었다고 발표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7개월 연속 약 90% 감소했다. 한편 전월 대비로는 4.6% 증가해 2개월 만에 상승했다.
인도네시아에서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좋은 포장 및 판지 등의 포장 자재 수요가 늘고 있다. 전자상거래(EC) 매출 상승을 배경으로 디자인보다 내구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특히 식품 분야에서는 신선도 유지 기간과 안전성 개선에 도움이 되는 스마트 패키징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산업부 중소·기타산업국의 가띠 국
모빌리티 공유사업 업체 그랩 인도네시아(Grab Indonesia)는 11월 28일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브니바잇닷컴(BenihBaik.com), 환경 싱크탱크 세계자원연구소(WRI)과 연계하여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탄소 상쇄 활동(Carbon Offsetting)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탄
2020-12-02
인도네시아 대형 백화점 마따하리 디파트먼트 스토어(PT Matahari Departement Store)는 올해 6개 대형 지점을 폐점한다고 밝혔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와 그에 따른 규제 영향으로 수익 창출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자바섬에서 4개 지점, 발리와 술라웨시섬에서 각각 1개 지점을 폐쇄한
인도네시아 환경임업부는 11월 28일 산림탄소파트너십기금(FCPF)을 관리하는 세계은행과 동부 깔리만딴의 탄소배출권 구매협정(ERPA)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025년까지 최대 1억 1,000만 달러를 취득하는 것이 목표이다. 정부는 삼림 벌채 등을 억제하고 2,200만톤의 탄소 감축량을 FCPF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태국 3개국 정부가 세관, 출입국 관리, 검역 등 3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내년 협정 체결이 목표이다. 11월 27일 안따라뉴스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 성장 삼각지(IMT-GT)의 피르다우스 달란 소장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가 확산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2014년부터 지속된
2020-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