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제성장률 5%, 세계 성장률 웃돌아…중산층 증가로 내수 폭발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이 세계 경제의 구세주로 거듭날까. 미국에서 발간되는 경제 격주간지 포브스 인터넷판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경기둔화를 겪고 있는 중국과 인도 대신 아세안으로 눈 돌리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글로벌
경제∙일반
2014-01-23
지방정부로 권한이양 및 유통규정 명시 정부가 주류 판매에 관한 신 규정을 공포했다. 지방정부에 인가권한을 이양했으며, 알코올 도수에 따라 취급할 수 있는 상점을 명시했다. 현지언론 자카르타글로브 21일자에 따르면 유도요노 대통령이 2013년 12월 6일부로 새로운 대통령령을 승인해, 각 지자체가 주류판매 인가를 결
유통∙물류
BKPM “30개사 제련소 건설 등록” 30개사가 총 150조 루피아 규모의 제련시설을 인도네시아에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국 천연자원 부가가치 향상과 자원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 확대를 목표로 시행한 금속원광수출 금지법이 효과를 발하고 있는 것이다. 현지언론 자카르타포스트 22
건설∙인프라
정부, 2017년까지 60%로 높일 계획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Kadin)의 수르요 회장은 이번 달 시행된 신광업법에 따라 부과되는 미가공 광물 관세율이 너무 높다며, 정부에 재고를 요청했다. 아직 제련소를 완공하지 못한 광물업체 중 신광업법의 유예조건에 부합하는 업체는 관세를 현재 지불하고 미가공 광물을
무역∙투자
부문별 38.9%~64.7%까지 올라 인도네시아 정부가 오는 5월 1일부터 대대적인 산업용 전기료 인상을 시행한다. 이에 따라 전력소비량에 따라 산업용 전기료는 38.9% ~64.7%까지 인상될 전망이다. 현지언론 자카르타포스트 22일자에 따르면 에너지광물자원부는 전날 전력 가격이 5월 1일부터 매 2
에너지∙자원
네덜란드 밴 오드와 합작 ∙∙∙ 준설공사 실시 국영항만운영회사 쁠라부한 인도네시아(쁠린도3)는 네덜란드의 준설회사 밴 오드(Van Oord)와 합작하여 동부자바 수라바야의 딴중뻬락 항구 노선정비에 나선다. 딴중뻬락 항구에 대형노선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쁠라
2014-01-22
대만 전자기기 제조업체 HTC의 신제품 스마트폰이 곧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IT매체 디지테크(digi.tech.qq.com)는 지난 20일(현지시각) HTC의 신제품 스마트폰 "HTC M8x"가 인도네시아의 인증기관 포스텔(Postel)로부터 인증 절차를 마무리했다고 전했다. 제품의 공식 명칭 외에 구체적인 정보는 전달되지
교통∙통신∙IT
혼다 재즈 vs 도요타 야리스 vs 포드 피에스타 혼다 재즈는 지난해 인도네시아 해치백 시장에서 선두를 점했다. 그러나 올해 토요타와 포드가 신모델 출시를 앞두고 있어 해치백 시장의 선두경쟁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협회(GAKINDO)는 작년 혼다 재즈가 27,803대의 도매판매를 기록하여 인도네시아 해
인니 산업부장관, “韓 투자 없는 추가 관세인하는 어려워” 인도네시아 정부가 올 상반기 한국과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을 매듭지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한국무역협회 싱가포르 지부에 따르면, 인도네시아가 동남아시아의 생산기지로의 역할을 하는데 한국 기업들의 투자가 도움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화장품협회(PPAKI)는 산업용 전기료가 인상된 후, 화장품의 판매가가 5~10%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을 밝혔다. 제조비가 최대 15%정도 늘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현지언론 비즈니스인도네시아 18일자에 따르면 뿌뜨리 PPAKI 회장은, “에너지광물부가 제1분기(1~3월)에 산업용 전기요금을 올릴 계획이며 인상폭은 계약용량 20
2014-01-21
신설공장 연간생산능력 50,000KL 인도네시아 최대 맥주·음료기업 물티 빈탕 인도네시아(MBI)는, 2,107억 루피아를 투자해 동부 자바주 모조끄르또에 탄산음료 공장을 신설한다. 기존 2개 공장에서는 맥주 생산을 늘리고, 신설공장에서는 비주류 음료 생산에 집중할 계획이다. 신설공장의 연간생산능력은 5만 킬로리
쇳물 나오는 출선구에 균열, 일주일만에 보수완료 포스코가 동남아 지역 최초로 건설한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가 이달 초 설비 고장으로 가동을 일시 중단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포스코에 따르면 지난해 12월23일 화입식을 진행한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 크라카타우포스코가 가동 일주일 만인 지난 1월1일 쇳물이 출하되는 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