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대우전자, 동남아ㆍ아프리카 시장 공략…영업총괄 법인 설립 동부대우전자(대표 최진균 부회장)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동남아영업총괄과 이집트 카이로에 아프리카영업총괄 법인을 각각 설립하고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동남아영업총괄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무역∙투자
2014-08-14
인도네시아도시계획협회(IAP)가 조사한 2014년 국내 도시별 생활만족도 지수에서 동부 깔리만딴주 발릭빠빤이 만족도 지수 71%로 1위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생활만족도에서 64%가 ‘살기 좋다’고 답했다. 발릭빠빤 위치.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도시의 1,0
경제∙일반
한국투자증권, 인도네시아 진출 눈앞..연내 사무소 설립 목표 이번 주 현지 당국에 사무소 설립신청서 제출 한국투자증권이 인도네시아 금융시장 진출을 눈앞에 뒀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은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이번 주 내 현지 금융당국에 사무소 설립 신청서를 제
금융∙증시
자카르타경제신문과 공동으로 현지 매니저 대상으로 재무교육 실시 자카르타경제신문(pagi.co.id)과 딜로이트 인도네시아(Deloitte Indonesia)가 공동으로 인도네시아 현지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의 현지인 매니저를 대상으로 재무교육을 실시하는 ‘딜로이트 파이낸셜 세미나’가 13일 플라자 오피스 타워
니켈값 급등, 호주 휴지 광산 다시 가동 인도네시아의 원광석 금수 조치로 니켈 가격이 급등하자 호주 광산회사들이 놀리고 있던 니켈광을 다시 가동할 준비를 하고 있다. 에이브베리는 6년 동안 휴지 상태로 뒀던 태즈메이니아 광산을 조만간 다시 채굴할 계획이다. 에이브베리는 내년 상반기부터 니켈 원광석을 농축물 기준으로 연간 1만
에너지∙자원
전 세계 ‘라인’ 이용자 5억명 돌파 눈앞ㆍ서비스 시작 3년여 만에 고속확장 모바일 메신저 ‘라인’이 전 세계 이용자 5억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네이버 자회사로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는 라인 이용자가 곧 5억명에 이른다고 아사히신문이 13일 보도했다. 라인은 2011년 6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
교통∙통신∙IT
소매회사 8곳의 1~6월 결산: 이익 증가 2곳에 불과 8개 소매기업의 2014년 1~6월기 결산이 나왔다. 대부분의 매출은 증가했으나, 인건비와 판촉비 확대, 높은 금리로 금융비용이 늘어 수익 증가를기록한 기업은 2곳 뿐이었다. 전문가들은 올해 전기요금 인상과 점포임대료 상승과 같은
유통∙물류
인니 산업부, 가전판매액 올해 105억 달러 예측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올해 가전판매액이 105억 달러가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이 가운데 국내판매액은 30%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현지언론 비즈니스인도네시아 12일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가전업계의 성장목표를 매년 2자릿수로 설정하고 있으나, 국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전경. 자료사진. PGN, 동부자바주72km 가스파이프 사업 시행 인도네시아 신흥 경제성장 거점으로 불리는 동부 자바주의 4개 산업단지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PGN이 총 72km규모 가스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시행에 나섰다. 2일 인도네시아 최대 천연가스 운송배송업체 PGN에 따르면 동
마이크로소프트가 11일(현지시간) 공개한 2만원대 저가폰 노키아130(노키아 홈페이지). 마이크로소프트(MS)가 단돈 2만원대 초저가폰 '노키아130'을 공개했다. MS 무선사업부는 11일(현지시간) "새로운 디지털 경험을 원하는 10억명의 사람들을 위해 음악과 동영상 플레이어를 갖춘 노키아130을 단돈
올해 상반기, 국영 만디리 은행은 총 자산 674조 7,400억 루피아(6월 기준)로 국내은행 자산규모 중 최대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지난해 동기보다 14.08% 증가한 것이다. 신용 수익이 크게 늘어난 은행은 국영 ‘뱅크 락얏 인도네시아(BRI)’로 전년동기대비 15.54%의 성장을 거뒀다. 총 621조
2014-08-13
중부자바주 시군이 표시된 지도. 자료사진 스마랑 동서로 2개 공단 들어서…수도권 공장 이전 활발 자카르타 수도권 인근의 기업들이 공장이전 대상지역으로 전국에서 임금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집계된 중부자바주를 주목하고 있다. 최근 섬유, 봉제 등 기타 노동집약 공장들이 활발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