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수스는 스마트폰 점유율 20%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은 대만 PC기업 ASUS가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시장에서 내년 점유율 20%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수요가 늘고있는 저가격대 시장을 시작으로 라인업 확충과 고객 확보를 진행해 실행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올해 4월
교통∙통신∙IT
2014-09-19
인도네시아 가축사료업자연합회(GPMT)는 일본이 수입하는 닭고기 가공품의 수출액이 연간 2억 달러 이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류인플루엔자의 영향으로 10년간 수출이 금지되어 있었으나 연내에는 허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공사업의 확장 계획안이 진행되고 있어 지역내 기업들 사이에서 기대가 높아지는 등 낙관적인 전망이 나
유통∙물류
인도네시아 GDP대비 물류비가 삭감될 것으로 보인다. 10월 출범하는 조꼬 위도도 차기 정권은 물류비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현행 27%에서 15%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향후 철도와 항만을 정비하고 물류시스템을 효율화해 달성할 계획이다. 인수위원회의 아꾸발(인
한국 기업이 중부 자바 수산 사료 생산 시장에 진출한다. 현지 언론은 한국 기업이 중부 자바주 쁘까론시에서 수산 사료를 생산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투자 금액은 250억 루피아이며 시내에서 수산물 양신 산업에 크게 번성하고 있어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쁘까로간시의 바실 시장은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파노라마 그룹은 EC사업을 강화할 전망이다. 인도네시아 여행대리점기업 파노라마 그룹이 전자상거래(EC)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늘고있는 젊은층의 인터넷 사용 수요를 확보하여 향후 고객층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한스 부사장(EC사업담당)은 “젊은층 고객들은 새로운 기
내년 인도네시아 철강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내년, 국내철강 수요가 올해 전망대비 8% 증가한 1,300만 톤이 될 것이라 예측했다. 차기 정권내에서 부동산과 인프라의 건설 가속으로 수요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부제조산업국의 브디 철강과장은 내년 철강 수요는 10월 출범하는
건설∙인프라
2014-09-18
포스코 인도네시아 제철소 전경. 사진=포스코 제공 포스코가 인도네시아에서 가동 중인 종합제철소의 증설 방안이 내년 상반기 구체화된다. 민경준 크라카타우포스코 법인장은 15일(현지시간) 한국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경쟁력 향상과 수출 확대를 위해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포
인도네시아 재계는 연간 300만 명의 고용창출을 주문했다. 인도네시아경영자협회는 16일, 향후 5년간의 경제로드맵의 개요를 밝혔다. 연간 7%의 경제 성장률을 달성하기 위해 매년 300만 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권출범 100일 이내에 보조금 대상 석유 연료 가격 인상도 제안했다.
"앞으로 우리가 포스코에 대해 기대하고 있는 것은 찔레곤의 도시 계획을 지원해 줄 수 있냐는 것이다. 단순히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발전도 도모하여 균형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었으면 좋겠다" 포스코의 첫 해외 일관제철소가 들어선 인도네시아의 해안도시 찔레곤의 시정을 관장하는
일본 미쓰비시 모터스가 인도네시아에 6억 달러(약 6천억 원)를 투자해 새 자동차 공장을 건설키로 했다. 마쓰코 오사무 미쓰비시 사장은 16일 M.S. 히다얏 인도네시아 산업부 장관과 회의를 한 뒤 자와바라트 주 베카시에 연산 8만대 능력의 새 자동차 공장을 짓겠다고 밝혔다고 AP 통신이 보도했다. 미쓰비시는 내년 5월 새 공장
무역∙투자
태국계 식품회사인 차룬 폭밴 인도네시아(PT Charoen Pokphand Indonesia)가 치킨너겟 등의 닭고기 가공품 수출을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2004년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닭고기 가공품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일본, 중동, 동남아시아 국가로 수출을 시작할 계획이다. 일본 수출
국영통신 텔레콤니카시 인도네시아(Telkom)가 유럽계 인공위성 제작사인 아리안 스페이스사를 통해 새로운 통신위성 ‘텔콤3S’의 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금번 인공위성 발사를 계획하기까지 이전의 제작과 입찰 과정에서 유럽과 미국계 7개기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리안 5ECA’ 로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