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인이 사랑하는 온라인 잇아이템 ‘5가지’ > 경제∙비즈니스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비즈니스 인니인이 사랑하는 온라인 잇아이템 ‘5가지’ 경제∙일반 편집부 2015-01-23 목록

본문

 
인도네시아인들의 잇 아이템은 무엇일까?
 
인도네시아 경제의 급성장으로 인해 중산층이 빠르게 늘고 있다. 이에따라 국민들의 구매력 또한 늘고있으며, 전자상거래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 또한 자국 전자상거래 산업 활성화를 위해 모든 온라인 거래에서 부가가치세 면제 방안을 검토 중이다.
 
SK플래닛이 운영하는 한국 오픈마켓 11번가 또한 인도네시아 2위 이동통신사 엑스엘 악시아따(XL Axiata∙대표 하스눌 수하이미)와 합자로 인도네시아 온라인홈쇼핑 '일레브니아(www.elevenia.co.id)'를 런칭했다.
 
이처럼 온라인 마켓의 성장속, 인도네시아인들에게 온라인으로 가장 많이 구매되는 아이템은 무엇일까. 현지 언론은 인도네시아인들이 가장 많이 구매하는 아이템 5가지를 선정했다.
 
  1. 여행상품
통계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가량이 항공기와 호텔 티켓을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산층의 증가로 인해 해외여행을 즐기려는 수요가 늘고 있으며 아고다(agoda.com)와 에어비엔비(airbnb.com)와 같은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주로 티켓팅을 하고 있다.
 
  1. 유아 용품
유아용품 또한 온라인 판매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육아를 위해 외출이 자유롭지 않은 부모들은 손쉽게 구매와 결제를 할수 있는 온라인 거래의 매력에 푹빠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직접 배송까지 책임지어 주는 업체들의 인기가 상승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육아 용품업체들은 이런 트렌드에 발맞추어 다양한 상품은 물론 프리미엄 상품들의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 전자제품
젊은층에게는 단연코 컴퓨터와 스마트폰 관련 전자제품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온라인 거래 사기, 배송 실수 등 약간의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위험이 있으나 10대~20대 젊은 층에서는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았다.
 
구매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웹사이트는, 인도네시아 최대 커뮤니티인 ‘까스꾸스’가 전체의 6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서 ‘페이스북’이 32%, 블랙베리 메신저가 31%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상위 10%대 플랫폼으로는 ‘LINE’과 ‘트위터’ 등 웹게시판과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구입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상품 구매 과정에서 이용되는 의사소통 수단으로는 블랙베리 메신져가 88%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 뒤로 ‘왓츠앱’이 61%, LINE이 36%를 기록했다.
 
  1. 패션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화장품, 의류 등 패션 아이템이었다. 특히 인도네시아 여성들이 외모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코스메틱 관련 제품들의 수요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아울러 한류 열풍을 타고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 화장품 선호도 조사에서 에뛰드하우스가 1위를 차지했다.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제품은 비비크림, 립글로즈, 스킨케어 순이였으며 최근에는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와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 이북(E-book)
전자책이 인도네시아 국민들에게 도서구매의 새로운 대안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산층의 증가로 인도네시아 국민들의 교육열 또한 올라가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올해 6월부터 의무교육제를 현행 9년에서 12년으로 확대 실시하겠다고 밝힌바 있으며 응답자의 40%는 6개월 이내에 이북을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진흥단체 베라아시아는 이 나라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가 오는 2016년 25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지난해 ‘전자상거래 트렌드 및 소비패턴 종합지수’ 산정 결과 동남아 국가 중 인도네시아가 136점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는 등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은 신뢰할만한 결제 수단이 없어 은행 이체를 통한 결제가 대부분이지만 최근 ‘XL’같은 현지 이통사가 ‘모바일 머니’ 등의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전문 결제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구상학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