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올해 1~5월 신차 판매 대수(출하 베이스 확정치)는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한 44만 3,181대에 그쳤다. 인도네시아 자동차제조협회(GAIKINDO)가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상위 15개사 중 12개사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가장 침체된 브랜드는 한국의 기아 자동차였다. 올 1~5월 간 자동차 판매 대수는 지
교통∙통신∙IT
2015-06-18
인니, 조꼬위 정부 5개년 경제개발 키워드는 PPP수은 “EDCF, O&M 등 PPP 유도정책 적극 검토” 한국중부발전, “인니 2019년까지 35GW 건설계획, 그 중 IPP가 25GW” 창간 3주년을 맞은 엔지니어링데일리가 지난해 10월 민선 2기 체제를 맞이한 인도네시아 현지중계
무역∙투자
자카르타경제신문 지면광고가 단돈 십만 루피아? 저렴하게 광고하고 장기계약 할인도 받자!! 자카르타경제신문에 광고하고 싶은데 광고비가 만만치 않으십니까? 자카르타경제신문 클래시피케이션 광고판이 런칭되었습니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내 사업체를 홍보하고 싶으신 분은 주저없이 연락주세요. 다양한 사이즈와 합리적인 가격으로 광고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EC 몰인 블리블리닷컴(Blibli.com)은 나이키 스포츠용품 판매에 주력해 매출 확대에 나설 계획을 16일 밝혔다. 블리블리닷컴에서는 이미 나이키 관련 상품을 취급하고 있었으나 나이키 인도네시아와 제휴를 통해 전문점을 열게 됐다. 나이키 직영점에서 운동화와 의류 제품 등 200여 개의 항목 이상을 블리블리닷컴에 제공
한국 대림산업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추진하는 자카르타 인근 까리안(Karian) 다목적댐 건설 공사를 수주했다고 17일 밝혔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우리나라에 지원하는 대외경제협력기금인 EDCF 차관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의 공사비는 915억원 규모로 이 가운데 대림산업의 지분은 약 470억원(51%)이다.
건설∙인프라
패스트푸드 체인 캘리포니아 프라이드 치킨(CFC) 등을 운영하는 파이어니어인도 고메 인터내셔널( Pioneerindo Gourmet International)은 올해 테이크아웃 전문점을 확대해나갈 계획을 16일 밝혔다. 파이어니어인도 측은 테이크아웃 전문점은 레스토랑에 비해 장비 임대료, 인건비 등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유통∙물류
인도네시아 정부 2016년도 예산에서 5조루피아를 지열발전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16일 발표했다. 지열발전 잠재력이 2,800만kW로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배정예산 가운데 절반을 투입, 개발을 가속화하겠다는 방침이라고 현지언론은 16일 보도했다. 사잇 수디르만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은 "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은 투자를 가로막는 큰 장애물이 바로 전력 부족이라고 16일 밝혔다. BKPM은 서부 자바와 중부자바에서 6월 9일부터 12일까지 4일간 투자 안건 9건 현지 조사를시행했다. 투자 애로사항에 대한 질문에서 대부분의 기업 관계자들은 ‘전력 부족’이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2015 파리 에어쇼에 참가한 조난 이그나시우스 인도네시아 교통부 장관(가운데)이 보잉사 관계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detikcom 2015 파리 에어쇼에 참가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국영항공사 가루다 인도네시아가 최신 기술을 탑재한 항공기 구매조사 관련 협력의사를 내비쳤다고 현지언론은 16일 보도했다. 가루
2015-06-17
지난 4월 16일 편의점에서 맥주가 사라졌다. 편의점 유통망이 막혀 ‘위기’에 봉착한 맥주 제조·판매 회사들은 살기 위해 새로운 판로 모색에 나섰다. 무알콜 음료 판매에 주력해 맥주 매출 감소 보충을 도모하는 민간 기업도 눈에 띈다. ‘산미구엘’ 등을 판매하는 델타 자카르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 수메당군에서 건설 중인 자띠 그데댐(Waduk Jatigede)이 오는 8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댐 건설 지역 인근 주민에 대한 보상금액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라고 현지언론은 15일 보도했다. 지난해 3월, 이미 댐 준공은 98%가까이 완성됐으나,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보상금액의 합의가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 사진=AP연합뉴스 자료사진 올해 안에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 의장의 발언 이후 세계 증시가 조정과정을 거치고 있다. 세계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크게 할 미국의 금리 인상 충격을 시장이 선반영하려는 움직임으로 분석
금융∙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