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카르타 SCBD 전경(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의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FDI)는 5년 만에 가장 큰 연간 감소폭을 기록한 반면, 국내 투자자들은 성장세를 유지하며 투자 증가세가 완화됐다. 투자및 다운스트림산업부가 1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월부터 9월까지의
무역∙투자
2025-10-20
자카르타 딴중 쁘리옥항 자카르타 국제컨테이너터미널(JICT)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인도네시아는 미국의 수입 관세 인상에 앞서 무역업체들이 주문이 이어짐에 따라 제조품 수출이 급증한 덕분에 수년 만에 가장 높은 무역 흑자를 달성했다.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은 지난 1일, 8월에 무
2025-10-03
지난 2월 20일, 2025-2030년 바땀 시장 암사까르 아흐마드(Amsakar Achmad) (사진 오른쪽에서 일곱번 째)가 바땀 사업청장으로, 부청장에는 리 클라우디아 찬드라(Li Claudia Chandra)(사진 오른쪽에서 여덟번 째)가 임명됐다. (사진=바땀 사업청) 인도네시아 바땀은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국제 해상 항로
수까르노 하따 공항 자동 출입국 심사대(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는 외국인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작년에 도입된 특별 거주 허가인 골든 비자 발급과 관련하여 48조 루피아 상당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자카르타포스트가 28일 전했다. 인도네시아 이민국은 9월 23일 기준으로 총 
2025-09-30
쁘라보워 수비안또 대통령(왼쪽)과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오른쪽)이 2025년 7월 14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인도네시아-EU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IEU-CEPA)의 '정치적 합의'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대통령비서실 홍보국//Laily Rachev) 인도네시아와 유럽연합(EU)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2025-09-23
인도네시아 수퍼마켓에서 판매되는 생새우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 국가연구혁신청(BRIN)은 인도네시아산 냉동새우 제품이 방사능 오염 없이 안전하게 섭취가 가능하다고 선언했다. 18일 자카르타포스트에 따르면, 이번 선언은 미국 당국이 인도네시
2025-09-19
수마뜨라 잠비 지방의 팜농장에서 노동자가 팜열매를 수확하고 있다. 2023.6.29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8월 7일부터 부과한 19% 관세에서 인도네시아산 코코아, 팜유, 고무 수출품에 대해 면제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인도
2025-08-28
인도네시아 수퍼마켓에서 판매되는 생새우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 환경부는 지난 22일, 현지 해산물 가공업체 바하리 막무르 스자띠(PT Bahari Makmur Sejati, BMS Food)가 제품 안전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생산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2025-08-26
서부자바 브까시에서 보이는 자카르타 스카이라인(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자카르타에 있는 산업 토지 컨설팅 회사 창립자인 가오 샤오위에 따르면, 미국이 부과한 막대한 수입 관세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에서 사업을 확장하거나 설립하려는 중국 기업들의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2021년&nb
2025-08-15
자카르타 호텔인도네시아 로터리의 환영 동상(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는 국내 투자 급증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는 약해지고 있다. 분석가들은 글로벌 불확실성, 특히 미국의 수입 관세에 대한 불안감을 신흥 시장에서 외국 자본이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이러
2025-08-14
2025년 2월 24일(월) 쁘라보워 수비안또 대통령이 국부펀드 다난따라(Daya Anagata Nusantara ,Danantara)를 공식 출범했다.(사진=대통령비서실 홍보국 자료)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부펀드 다난따라(Danantara)가 투자평가를 기반으로 손실 축소 및 전략을 시행하고 이러한 결정에 대해
2025-08-12
중부자카르타의 따나아방 시장 모습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쁘라보워 수비안또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촉발된 글로벌 갈등과 경제 불확실성을 헤쳐 나가는 과정에서 인도네시아의 국가 변혁 전략은 '현실주의'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7일 자카르타포스트
2025-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