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제조업 강화에 집중…지원정책 내놔 > 경제∙비즈니스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비즈니스 인니, 제조업 강화에 집중…지원정책 내놔 경제∙일반 편집부 2019-09-09 목록

본문

다르민 나수띠온 (Darmin Nasution) 경제조정장관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은 4일 중앙정부와 금융감독청(OJK)과 제조업을 지원하기 위한 여섯 가지 정책을 제시했다고 발표했다. 
 
인도네시아 경제를 견인해야 하는 제조업의 투자와 수출이 부진해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 경제성장 침체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4일 개최된 ‘지속적 경제성장을 위한 제조산업 발전’ 회의에서 국내 제조업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은행과 중앙정부, 금융감독청은 관련 전략을 논의했다. 중점분야인 여섯 정책은 (1) 서부 자바 수방군에 엔차관으로 건설되는 빠띰반 항구와 주변 인프라 정비, (2) 투자 인허가 신청 및 발급 절차 온라인으로 통합한 OSS 시스템 이용 촉진 및 투자환경 정비, (3) 제조업 투자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세금의 특별 공제 및 규정 완화, 규정 간소화, (4) 현지 통화 결제의 협력 강화와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확대 등을 통한 결제시스템을 원활화, (5) 주택 부동산 가격에 대한 대출 금액 비율인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 및 계약금 규제 등 완화, (6) 경제 협정 체결 및 전시회 개최 등을 통해 무역 촉진 등이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5일자 보도에 따르면 다르민 경제조정장관은 “정부는 9~10월에 걸쳐 투자 인허가 취득 과정을 대폭 간소화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산업부 화학·섬유·기타산업국의 아마드 시깃 국장은 “제조 분야에 대한 대출 금리를 우선 인하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조꼬 위도도 대통령은 “세계경제 침체가 국내 제조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라며 “외국 투자 유치가 하나의 해결책이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외국인 투자자의 관심을 많이 끌고 있다.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꼬 위도도 대통령은 이어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마찰로 생산 거점을 다른 나라로 차례로 이전하고 있지만, 이전 국가로 선정된 곳은 태국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등이다. 인도네시아는 거론되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 섬유업 연말에 순수입국으로 전환
 
인도네시아는 섬유업계는 국산 제품에 대한 낮은 수요로 빠르면 연말부터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많은 순수입국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인도네시아 합성섬유생산자협회(Apsyfi)에 따르면, 의류의 국산품 이용률은 60%, 직물·편물은 40%까지 감소했다. 
 
산업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섬유 제품 수출액은 3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다. 
 
시깃 국장은 "국내 섬유산업은 충분한 국제 경쟁력을 갖고 있지만, 이대로라면 연내 순수입국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