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영 은행 만디리(Mandiri)는 최근 캄보디아와 라오스 시장에 진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크메르 타임즈 등 각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미 시장 진출을 위한 대규모 투자 펀드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만디리 은행의 로한 사업 부장에 따르면, 이 회사는 은행 업무 또는 금융 업무를 포함해 두 시장
금융∙증시
2019-08-28
인도네시아 리아우제도주 바땀시에서 영업 중인 일본계 2개사를 포함한 전자 관련 4개사가 실적 악화로 인해 사업의 축소나 해산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일자 현지 매체 꼰딴 등의 보도에 따르면, 바땀시의 최저임금 상승과 수출 운송 비용 상승 등으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4개사는 전자부품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국영 건설 위자야 까르야(Wijaya Karya, 이하 WIKA)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제조 자회사 ‘와스끼따 브똔 프리캐스트(PT Waskita Beton Precast, 이하 WSBP)’는 동부 깔리만딴 발릭빠빤에 공장 건설을 계획하고 다. 자카르타에서 깔리만딴섬으로 수도가 이전되면 콘크리트
건설∙인프라
제8차 한-인도네시아 CEPA 협상 [산업통상자원부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제9차 한국-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공식 협상이 28∼30일 제주에서 열린다고 27일 밝혔다. 연내 타결을 목표로 한 이번 협상은 상품, 서비스, 투자, 원산
인도네시아에서 연내 고속도로 9개 구간이 새롭게 개통될 예정이지만, 물류 비용 절감은 고속도로 정비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0일자 보도에 따르면 이 9개 구간은 자바섬, 수마뜨라섬 등에 건설되며 총연장 400킬로미터에 달한다. 조꼬 위도도 대통령은 지난주
2019-08-27
인도네시아 국영 건설 PP(PT PP)이 상수도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PP는 국영 제철 끄라까따우 스틸(PT Krakatau Steel)의 자회사로 반뜬 찌레곤에서 상수도 사업을 다루는 끄라까따우 띠르 인더스트리(PT Krakatau Tir Indonesia, KTI)를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은 25일부터 10월 21일까지 자카르타-일본 나고야 주부공항의 직행 노선 일부를 운휴한다고 발표했다. 현지 언론 꼰딴 23일자 보도에 따르면 운휴 노선은 자카르타발 나고야행 GA884의 25일, 27일, 30일 각 항공편과 9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토요일,
교통∙통신∙IT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EC) 부깔라빡(Bukalapka)은 21일 중앙은행이 발표한 QR코드 기반 전자결제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QRIS)를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중소영세업자(MSME) 1000개사와 계약했다고 발표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2일자 보도에 따르면 부깔라빡의 나탈리아 최고 재무
인도네시아 국영 가스 PGN은 10월 산업용 천연 가스의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다. 아직 구체적인 인상 금액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인도네시아는 인근 국가와 비교해 산업용 가스의 가격이 높다고 각 업계에서 불만의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지 언론 드띡 24일자 보도에 따
에너지∙자원
싱가포르 OCBC 은행(Overseas Chinese Banking Corporation)이 검토 중인 인도네시아의 복합 기업 아스뜨라 인터내셔널(PT Astra International) 산하의 은행 쁘르마따(Bank Permata) 인수가 실현되면 자산 규모는 326조 루피아로, 인도네시아 5위 은행이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인도네시아 재벌기업 리뽀 그룹(Lippo Group)은 지난 17일 서부 자바주 브까시 찌까랑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형 도시 개발 사업 ‘메이까르따(Meikarta)’에서 건설 중인 아파트 4개동을 상량(上棟)했다고 밝혔다. 지난 19일자 인베스터데일리 등의 보도에 따르면, 리뽀 그룹은 독립기념일에 맞춰
인도네시아 수도인 자카르타특별주의 2020년도 예산안이 의회에 제출되었다. 내년 예산안은 95조 9,000억 루피아로 올해 89조 루피아에서 7.7% 증가했다. 지난 18일자 자카르타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학교 교사 인원 확충과 건강보험제도 시스템, 공립 학교의 복리 후생, 도시의 보도 정비 등을 위한 많은 예산이 할당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