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전국자원봉사연맹이 지난 4월 11일, UN산하 기구인 PKPU와 협동하여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데뽁(depok)에 천사무료급식소 인도네시아센터를 개소하였다.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인 인도네시아는 상위 부호 4명이 하위 1억명의 부를 독점하고 있는 형태의 빈부격차가 극심한 나라이며, 세계에서 경제적 불평등이 심각한 국가 중 하나이
한인뉴스
2018-04-16
한인언론인들이 국회 도서관 강당에 모여 국민투표법 개정을 촉구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한인 언론인들이 10일 국회도서관 강당에 모여 "국회와 각 정당은 개헌논의에 상관없이 즉각 국민투표법 개정에 나서라. 더는 재외국민의 기본권을 정치 제물로 삼지 말라"고 촉구했다. 세계한인언론인협회(공동회장 전용
2018-04-12
-교원·직원·연구원, 학사·석사과정 학생 교류 등 추진 동아대학교(총장 한석정)가 인도네시아 무함마디야(Muhammadiyah) 재단 소속 4개 대학과 국제학술교류 협정을 체결했다. 동아대와 협정을 체결한 무함마디야 재단 소속 대학은 족자까르따무함마디야(Universitas
2018-04-13
명예교육학박사학위 수여. -물요노 총장, 오지마을 안전한 식수 확보·바이오에너지 생산 등 사업 펼쳐 한서대(총장 함기선)는 10일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파누트 물요노(Panut Mulyono) 총장에게 명예교육학박사학위를 수여했다. 한서대 연암도서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명예박사학위수여식
자료 요청하는 노웅래 의원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이 27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료요청을 하고 있다. - 노웅래 "공정사회·공정경쟁에 어긋나는 전형적인 비리" 최근 5년간 대학 부정입학으로 적발된 사례가 30건이 넘어 교육 당국의 엄격한 입시 관리가
2018-04-11
제17회 세계한인언론인대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 닷새 동안 '급변하는 세계미디어 환경' 등 논의 세계한인언론인협회(공동회장 전용창·김소영)가 주최하는 제17회 세계한인언론인대회가 9일 오후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막을 올렸다.
2018년 04월 09일(월), 자카르타한국국제학교(JIKS, 교장 백우정)에서 서울 이무지치챔버 실내악단의 특별 연주회가 열렸다. 1992년 창단된 서울 이무지치(I Musici, 자발적으로 음악을 한다는 이태리어)챔버는 중견연주자들로 구성된 실내악단으로 매년 정기연주회와 청소년을 위한 음악회, 찾아가는 음악회,
해외 한식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식진흥을 위한 실천방안을 논의하는 제6회 글로벌 한식문화 포럼이 4월 6일 호주 시드니 Mona Vale Golf Club 연회장에서 개최됐다. (사진= 세계한식총연합회) - 해외 13개 도시 한식단체 및 임원들 100여 명 참석, 한식세계화 실천방안 논의 해외 한식단체들이 한
2018-04-10
인도네시아 주니어 배드민턴 여자복식 우승 최헤진-이소율[대한배드민턴 협회 제공] 주니어 배드민턴 대표팀의 여자복식 이소율(영덕고1)-최혜진(성일여고1)이 2018 인도네시아 주니어 배드민턴 그랑프리에서 정상에 올랐다. 이소율-최혜진은 8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대회 17세 이하 여자복식 결승전에서 라
2018-04-09
-블록체인 기반 의료정보 제공 -올 하반기 국내 서비스 예정 블록체인이 점차 일상으로 다가오고 있다. 올해 하반기면 국내에서 블록체인 기반 의료정보 커뮤니티를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휴먼스케이프는 올해 하반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정보 커뮤니티 ‘휴먼스케이프’ 서비스를 시
유학생 유치 박람회. (사진=수원국제교류센터) (재)수원시국제교류센터는 수원권대학교 국제교류협의회 소속 세 개 대학(경희대, 성균관대, 아주대)와 지난 1일부터 6일까지 수원시 국제자매도시 인도네시아 반둥시를 방문해 반둥시 주요 교육기관 방문 설명회 및 유학생 유치 박람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방문은 믄자
계명대 대학원에 입학한 인도네시아 중견 공무원들이 석사학위 과정을 받고 있다(사진제공=계명대) 인도네시아 정부 주요 연구기관의 중견 공무원들이 석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계명대 대학원에 입학해 화제가 되고 있다. 2017학년도 후기 13명, 2018학년도 전기 8명, 총 21명의 인도네시아 공무원들은 특례입학이 아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