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카르타 GBK 블랙핑크 공연장.2023.3.11 (사진=한인 김태호 제공) 작년 말 코로나 팬데믹 관련 활동 규제가 완전히 풀리면서 콘서트 기획자들이 음악공연 산업의 부활을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티켓 재판매, 즉 이른바 암표 매매가 성행하면서 콘서트에 가려는 팬들이 지불해야 하는 총액과 공연 주최의 수입 사이에 엄청
힌두 종교 의식을 준비하는 발리 주민들(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이 와얀 꼬스떠르(I Wayan Koster) 발리 주지사는 최근 발리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의 몰지각한 행태가 자주 물의를 빚자 지난 5월 31일(수) 외국인들이 지켜야 할 의무사항과 금지사항들을 표시한 일련의 행동지침을 발표했다. 이는
■ 경제/ 사회 - 비싸도 너무 비싸져 인도네시아의 일반 밀레니얼 세대로서는 도저히 이룰 수 없게 된 인도네시아 젊은이들 내집 마련의 꿈(5월 26일, 자카르타포스트) -기업경쟁감독위원회(KPPU)가 인도네시아에서 식용유 가격 카르텔을 만들어 가격 조작한 혐의를 받은 27개
파우나랜드의 장애를 가진 백사자 모습 (인스타그램 계정(@jakut_update) 영상 캡처) 지난 5월 31일 소셜 미디어 영상에 절뚝거리는 백사자 영상이 올라와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했다. 인스타그램 계정(@jakut_update)에 업로드 된 영상에는 말라 보이는 한 사자가 뒷다리를 지탱하지
인신매매 이미지(Shutterstock/-) 지난 주말 인도네시아 외교부는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에 억류되어 온라인 사기행각에 강제로 동원된 인도네시아 국민 수십 명을 구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아세안 회원국들이 최근 점점 더 기승을 부리는 해당 범죄 척결을 위해 공동협력 강화노력을 계속하겠다고
■ 경제/사회 - 인도네시아 국립항공운송협회(INACA)에 따르면 승객 수가 팬데믹 이전 수준의 80%에 도달하면서 항공 산업 상당히 회복.(5월 19일, 자카르타포스트) - 옴니버스 보건법 개정안에 반대하는 인도네시아 의사협회(IDI)가 법안 통과될 경우 의사협회 위상과 역할이 침해
땅으로 올라온 새우떼 (틱톡 계정(@vhanchannels) 영상 캡처) 5월 24일 술라웨시 북부 고론딸로 불라두 마을에서 수천 마리의 새우가 뭍으로 오른 기이한 현상이 발생했다. 소셜미디어 틱톡 계정(@vhanchannels)에 올라온 영상에는 수천 마리의 작은 새우들이 땅으로 올라와 이동하는 모습이 담겨있는데,
한 기술자가 자카르타의 BTS 통신 케이블망을 수리하고 있다. 2017.11.21 (사진=안따라 포토/Rivan Awal Linga)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 장관 직무대행을 겸직하게 된 마흐푸드MD 정치사법치안조정 장관은 최근 최악의 부정부패사건으로 좌초 위기를 맞은 4G 통신 프로젝트와 관련해 애당초 지나치게 많은 예산이 책정되었다며 부패로 인해
폭우로 인해 침수된 서부자바 브까시 땀분 지역. 2023.2.27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기사내용과 관련 없음 인도네시아 교통전문가 조꼬 스띠조와르노(Djoko Setijowarno)는 인도네시아 전역, 특히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오지에서 흔히 발견되는 열악한 도로 인프라 상황은 주로 과적차량 운행과 지역 단위에서 창궐하
아체 예술가 Rasyidin Wig Maroe가 세계 반부패의 날을 기념해 중부 자바 솔로 Mojosongo VI 공립 초등학교에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부패 문화 거부에 대한 교육 목적의 무언극 공연을 하고 있다. 2019년 12월 9일 (사진=안따라포토/Maulana Surya) 지난 20일(토) 여러 개혁활동가들이 동부 자카르타
중부 자카르타 스넨 지역 뀌땅(Kwitang)에 있는 구눙아궁 서점 본사건물 (사진=꼼빠스닷컴/Xena Olivia) 발리 소재 성스러운 힌두의 산 이름인 ‘구눙 아궁(Gunung Agung)’을 브랜드명으로 차용한 서점 체인 운영사 GA 띠가블라스(PT GA Tiga Belas)는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부터 점진적으로 매장
■경제/ 사회 - 보로부두르 사원에서 6월 4일 와이삭 축일 행사에 참여하려는 태국 승려 32명이 걸어서 5월 12일 브까시에 도착(5월 12일, 꼼빠스닷컴) -1998년 신질서체제 종식을 불러온 뜨리삭띠 대학교 데모 총격 유혈참사 이후 25년이 지난 지금도 피해자 어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