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통계청(BPS)은 1일 식료품 가격과 팜유(CPO) 가격이 오르면서 11월 연간 물가상승률이 1.75%로 1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11월 물가상승률은 10월 월간1.66%, 연1.59% 보다 높았다. 월별 기준으로 소비자물가지수는 11월 0.37% 상승했다. 마
경제∙일반
2021-12-03
세계 각국이 국경 제한을 강화해 국제 여행 루트를 방해하면서 인도네시아의 관광 회복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 관광창조부는 지난 29일 새로운 변종이 발견되기 전후의 상황을 고려하여 인도네시아의 특정 지방 직항노선 개설 허용국 명단을 재검토해 국제 재개방 계획을 재평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1-12-02
페리 와르지요(Perry Warjiyo)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총재 중앙은행(BI)은 내년에도 전자상거래, 전자화폐, 디지털뱅킹 거래 가치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온라인 마켓플레이스가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페리 와르지요(Perry Warjiyo) B
2021-12-01
스탠다드차타드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수출이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인도네시아는 신흥시장 가운데 가장 빠른 성장률을 누릴 것으로 분석됐다. 런던에 본부를 둔 이 은행의 연구보고서는 인도네시아의 수출은 매년 연간 8%의 성장을 기록하여 2030년에는 3,480억 달러에 이를
2021-11-29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은 인도네시아 경제가 내수와 세계 경제의 반등에 힘입어 2022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부터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BI는 2022년에 국내총생산이 4.7%에서 5.5% 사이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올해 전망치(3.2~4%)보다 한층 개선된 것으로 지난
2021-11-26
재무부는 국가경제회복(PEN) 예산의 수요가 예상을 초과하자 세제 혜택 예산을 추가로 배정할 계획이다. 수아하실 나자라(Suahasil Nazara) 재무부 차관은 경제활동이 회복됨에 따라 정부가 1년 전체 세제 혜택 예산의 99.4%인 62조4700억 루피아를 지난 금요일까지 지출했다고 월요일 밝혔다. &
2021-11-24
정부는 내년에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경제 리스크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올해 인도네시아의 국가재정 적자를 예상보다 훨씬 적은 수준으로 유지할 예정이다. 지난 목요일 재무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적자는 873조 6천억 루피아로, 국내총생산(GDP)의 5.18%에서 5.45% 사이가 될
2021-11-23
중앙은행(Bank Indonesia, BI)은 글로벌 금융 시장이 여전히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다고 설명하였다. BI 경제 및 통화 정책 담당이사 위라 꾸수마(IGP Wira Kusuma)는 긴축 정책 우려로 촉발된 불확실성이 인플레이션으로 확산된 세계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2021-11-22
코로나 팬데믹 중에 한산한 발리 해변(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 정부는 관광업계 장려를 위해 이달 말에 관광부문 종사자에게 1인당 180만 루피아의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국가예산(APBN)을 조기 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모든 부처와 기관이 특히 국가예산을 집행하는 기관들
2021-11-19
기업들이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직원을 감원한 후, 재 고용하려는 가운데서도 비공식 부문의 일자리 증가가 제한적이지만 일부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큰 편이다. 지난 11월 5일 통계청(BPS)이 발표한 수치에 따르면 8월 비공식 근로자의 비율은 59.45%로 연초 대비 1.02% 감소하였는데, 이는 임시
2021-11-17
노동자들이 공장에서 자동차를 조립하고 있다. (Kontan/Fransiskus Simbolon)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올 1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자동차 판매는 연평균 68% 증가해 작년 같은 기간 46%의 감소세를 대폭 반전시켰다. 인도네시아 자동차협회(Gaikindo) 요하네스 난고이(Yohannes Na
2021-11-15
7월부터 9월까지 인도네시아의 경제 성장은 델타 바이러스 확산과 새로운 이동 규제가 기업과 소비자 활동에 부담을 주면서 정부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딘 성장을 기록하였다. 통계청(BPS)은 지난 금요일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3.51% 성장해 2분기 성장률의 절반 수준이라고 발표했다. &n
202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