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재무부는 알루미늄 호일 수입에 대한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를 지난 7일 발동했다고 밝혔다. 2년간 한시적이며, 관세율은 첫해에는 6%, 두 번째 해에는 4%라고 현지 매체 꼰딴과 비즈니스인도네시아가 전했다. 재무부는 ‘2019년 제153호’를 10월 24일자로 제정했으며 2
인도네시아 무역부의 반덤핑위원회(KADI) 바흐룰 회장은 지난 1년간 덤핑에 의한 경제 손실이 2억 2,833만 달러였다고 밝혔다. 4일자 현지 비즈니스인도네시아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1~10월에 실시한 조사에서 지난해 8월부터 1년간 덤핑된 수입 물품의 수입 총액에서 계산되었다. 덤핑된 물품은 아연&midd
인도네시아 참치 협회(Astuin)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일본에 수출된 참치는 그 양과 가치 모두 약 7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비즈니스인도네시아에 따르면, 해상에서의 수산물 환적이 금지된 것 등이 주된 이유다. 인도네시아 참치의 일본 수출량은 2014년 9,962톤에서 20
인도네시아 아구스 수빠르만또 무역장관 인도네시아는 양자간, 다자간 무역협정을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비석유가스 수출을 되살리기 위한 돌파구로 보고 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12일자 보도에 따르면 아구스 수빠르만또 무역장관은 “무역협정으로 인도네시아의 수출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하며
인도네시아 최대 시멘트 기업 세멘 인도네시아(PT Semen Indonesia)는 중국에 제품을 수출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가 중국에 수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최근 환경 보호를 위해 오염 물질 배출량이 많은 시멘트의 생산을 억제하고 있다. 현지 언론 비즈니
아구스 수빠르만또 인니 무역부 장관 아구스 수빠르만또(Agus Suparmanto)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은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물류 시스템의 강화를 목표로 할 방침을 나타냈다. 국영 안따라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무역부가 관할하는 무역 개발·연구 기관 관계자는 “
인도네시아 재무부는 원사 및 섬유 직물 등 섬유·섬유 제품(TPT) 121개 품목의 수입품에 대해 9일부터 긴급 수입 제한(세이프 가드)를 잠정적으로 발동했다. 발동 기간은 200일이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1일자 보도에 따르면 잠정 세이프 가드에 관한 재무장관령 ‘2019년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분야에 대한 여러 규정을 검토하고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한 활동을 추진함과 동시에 투자와 수출을 늘린다. 현지 언론 인베스톨 데일리 7일자 보도에 따르면 에디 쁘라보워 해양·수산장관은 “게나 새우의 유생 수출을 금지하고 있는 현행 규정에 관한 새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6일 영국 항공기 타이어 업체 던롭 에어크래프트 타이어(Dunlop Aircraft Tyres)가 인도네시아에서 생산 공장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7일자 보도에 따르면 이 회사의 고든 로퍼 최고 경영자(CEO)는 “1조 루피아의 투자
아구스 수빠르만또(Agus Suparmanto)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은 최근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인도네시아에서 수입하는 5개 품목에 일반특혜관세제도(GSP)를 적용하여 관세를 철폐했다고 발표했다. 대상은 대나무 합판, 두께 66mmm 미만의 합판, 건조 양파, 등나무(새순) 수공예품, 설탕 시럽·인공 꿀 및 캐
바흐릴 라하달리아 신임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장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은 지난달 31일 올해 3분기(7~9월) 투자실현액(석유·가스, 금융 제외)이 현지 통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205조 7,000억 루피아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14% 증가한 전분기(4~
인도네시아 투자청의 바흘릴 라하달리아 청장은 5일 중국 가구 제조 및 목재 가공 회사 등 59개사가 중부자바주에 공장을 이전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중부자바주로 선정된 요인 중 하나가 원스톱 투자 허가 절차 등 투자 유치에 편리성이 높은 점이었다. BKPM에 따르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