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영 시멘트 대기업 세멘 인도네시아(PT Semen Indonesia)는 타헤요시멘트(Taiheiyo Cement)와 포괄적 동반자 관계 구축 등에 관한 기본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타헤요시멘트는 이번 기본 합의서를 통해 세멘 인도네시아 자회사 솔루시 방운 인도네시아(PT Solusi
무역∙투자
2020-04-29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은 지난 22일, 해외직접투자(FDI) 유치를 위해 싱가포르계 은행 DBS 인도네시아(DBS Indonesia)와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외국 기업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을 통해 투자 유치를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인도네시아에 투자를 고려하는 기업에 대해 정책과 규제, 금융 등에 관한 정보 등을
동남아 국가에서 투자 활동을 전개하는 싱가포르 벤처캐피털(VC) 퀘스트벤처스(Quest Ventures)는 인도네시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새로 시작한 동남아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한 펀드의 대부분을 인도네시아에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퀘스트벤처스는 최근, 스타
2020-04-28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은 20일 1분기(1~3월) 투자실현액(석유 가스, 금융 등 제외)이 현지 통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210조 7,000억 루피아였다고 밝혔다. 연중 목표액 달성률은 24%였다. 해외직접투자(FDI)가 9% 감소했지만, 국내직접투자(DDI)가 29% 확대해 전체를 견
2020-04-24
인도네시아 무역장관은 17일 석탄과 팜원유(CPO) 수출과 쌀, 정부 조달물자 수입 시 국내 해운업체 이용을 의무화한 통상장관령 개정령 ‘2020년 제40호'를 공표했다. 국내 해운업체의 이용 의무를 15,000재화 중량톤(DWT)까지의 수송 선박에 한정하여 이전보다 조건을 완화했다.&nbs
2020-04-23
인도네시아 재무부가 코로나19에 필요한 의약품과 의료기기 등에 대한 수입 관세와 연간 선납한 법인세(PPh22), 부가가치세(VAT), 사치세 세금을 면제한다고 밝혔다. 이에 관한 재무장관령 ‘2020년 제34호'를 17일자로 공포, 당일 발효했다. 현지 언론 꼼빠스 19일자 보도에 따
2020-04-22
위슈누따마(Wishnutama)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 장관은 1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는 관광 업계 구제에 5,000억 루피아를 투자할 방침을 분명히 했다. 조꼬 위도도(통칭 조꼬위) 대통령도 참석한 관광업 구제에 관한 회의 후에 이 같이 밝혔다.  
2020-04-21
인도네시아 재벌 살림그룹(PT Salim Group)이 출자하는 싱가포르 투자회사 갈란트 벤처(Gallant Venture)가 닛산의 현지 법인 인도네시아 닛산 자동차(PT Nissan Motor Indonesia, NMI)의 주식 18.9%를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4일자 보도
인도네시아 루훗 해양투자조정장관은 14일 국내 투자유치 계획에 코로나19 영향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15일자 보도에 따르면 루훗 장관은 “4월부터 6월까지 일시 중단하고 있는 안건은 있지만, 취소는 하나도 없다. 투자를 계속 이어나가겠다며 이에 관한 문의가 있을 정도이다&r
미쓰비시 중공업은 1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현지 법인 미쓰비시 중공업 인도네시아(PT Mitsubishi Heavy Industries Indonesia)를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작년 12월에 설립, 4월부터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했다. 기존의 주재원 사무소 역할을 이어 받아 영업 및 서비스 활동을 강화한다.
인도네시아에서 코로나19 치료 및 확산 방지 대책에 필수적인 인공호흡기 및 검사 장비가 곧 생산을 시작한다. 4월 말에 휴대용 인공 호흡기 200대가 우선 생산된다. 현지 언론 뗌뽀 15일자 보도에 따르면 밤방 연구기술부 장관은 "휴대용 인공호흡기를 생산하는 두 회사의 생산 능력은 모두 주당 100개로
2020-04-20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이 15일 발표한 무역 통계에 따르면, 3월 무역 수지는 7억 4,340만 달러 흑자였다. 무역 흑자 2개월 연속 유지하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세계적으로 무역이 침체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수출입이 당초 예상보다 유지했다. 주요 11개국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