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영 증권사 다나렉사 증권(PT Danareksa) 산하의 다나렉사 리서치 연구소는 2월 28일, 2월 소비자 신뢰 지수(IKK)가 전월 대비 1.8% 하락한 100.5이었다고 발표했다. 4개월 만에 하락했다. 이 조사는 전국 6개 지역의 약 1,700가구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경제∙일반
2019-03-05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기자동차(EV)에 관한 대통령령 초안이 3월 5일에 완성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는 EV 생산 기업에 관한 우대 정책 등이 담겨 있다. 당초 지난해 말 공포 예정이었지만 지연됐다. 현지 언론 2월 26일자 보도에 따르면 교통부 육운국의 부디 국장은 "EV에 관한 대통령령이 기존의
2019-03-01
인도네시아의 복합 기업 아스뜨라 인터내셔널(PT Astra International)은 2018년에 이익이 두 자리수 확대했다고 2월 26일 밝혔다. 하지만 핵심 사업인 자동차 부문의 이익이 감소했다.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21조 6,730억 루피아, 매출은 16% 증가한 239조 2,0
인도네시아 북부 수마뜨라 세이 망께이 경제특구에서 올해 비료 공장과 발전소 건설 등 3개 사업이 착공될 예정이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22일자 보도에 따르면 3개 사업은 ◇ 사료 제조 얼터네티브 프로텐 인도네시아(PT Alternative Protein Indonesia) 대체 단백질 공장 ◇ 대만계
2019-02-28
인도네시아 재무부는 수출 사업에서 얻은 외화 수익을 국내 은행에 예금한 경우 예금 금리에 대한 소득 세율을 경감하는 우대 규정에 새로운 혜택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외화 수익의 국외 유출을 방지하여 루피아 환율의 안정과 국내 경제의 강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라고 비즈니스인도네시아가 보도했다. 인니 재무부는 정기
2019-02-26
인도네시아 타이어협회(APBI)에 따르면 국내 타이어 업체의 공장 가동률이 60%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국산 타이어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 언론 인베스톨 데일리 21일자 보도에 따르면 APBI의 아지즈 회장은 “국내 타이어 업체의 연간 생산 능력은 총 8,000만~9,0
글로벌 정보분석기업 닐슨이 20일 발표한 2018년 4분기(10~12월) 소비자 신뢰도 조사에서 인도네시아 지수는 지난 조사 대비 1포인트 상승한 127을 기록해 세계 3위를 차지했다. 소비자 신뢰도는 100을 기준으로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낙관과 비관 정도를 나타낸다.
2019-02-25
지난해 싱가포르 RCEP 정상회의 세계 인구의 절반, 세계 경제(GDP)의 3분의 1을 아우르는 메가 자유무역협정(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제25차 공식협상이 오는 22일부터 28일까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김정일 FTA정책관을
2019-02-22
세계은행 산하의 국제금융공사(IFC)는 18일 인도네시아의 복합 기업 CT코프(CT Corp) 산하의 트랜스 코프(Trans Corp)에 2억 7,500만 달러를 융자 지원한다고 밝혔다. 트랜스 코프의 소매, 관광업, 부동산 등 사업에 투입된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8일자 보도에 따르면 트랜스 코프는
2019-02-21
인도네시아 제조업계는 오는 5~6월에 라마단과 르바란 기간을 앞두고 있어 향후 3개월에 걸쳐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비즈니스인도네시아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량과 수요량이 감소했다는 내용은 계절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예상 범위라고 파악하고 있다. 영국의 정보제공업체
인도네시아 루피아화 통화가치가 오는 4월로 예정된 선거를 앞두고 올해 들어 달러화 대비 통화가치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4월 대선의 윤곽이 이미 비교적 선명해진 데다 조꼬 위도도 현 대통령의 연임이 비교적 확실해 보이면서 재정상태 개선, 공격적 통화정책 기조로 투자자의 관심이 연일 높아지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
2019-02-20
김현종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이 1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샹그릴라호텔에서 엥가르띠아스또 루끼따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과 CEPA(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협상 재개와 관련한 공동선언문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신남방 정책의 주요국인 인도네시아와 양자 무역협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