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산업부는 국내 제조업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 투자를 적극 유치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안따라뉴스 19일자 보도에 따르면 아이르랑가 산업장관은 18일 자카르타에서 열린 인도네시아-한국 컨퍼런스에서 “한국이 인도네시아에 투자하는 규모는 상당히 크다”라고 말하며 “철강산
경제∙일반
2019-09-23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이 16일 발표한 7월 말 기준 대외 채무 잔액은 3,953억 달러였다. 전년 동월 대비 10.3% 증가하며 증가율은 전월 대비 1.4% 포인트 확대됐다. 루피아의 대미 달러 환율이 하락함에 따라 미달러 환산으로 루피아 부채가 확대된 것 등이 배경에 있다. 국내 총
2019-09-20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이 19일(현지시간) 기준금리로 사용되는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 금리를 5.50%에서 5.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7월 18일 6.00%에서 5.75%로, 8월 22일 5.50%로 각각 0.25%포인트 인하한 데 이어 석 달 연속해서 금리를 내렸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이날
루훗 빤자이딴 인도네시아 해양조정부 장관 루훗 빈사르 빤자이딴(Luhut Binsar Panjaitan) 인도네시아 해양조정부 장관은 12일 지금까지 투자의 걸림돌로 작용해 온 72개의 법률을 개정하고 투자 관련 법률을 하나로 정리한 ‘옴니버스 법(Omnibus Law)’을 제정할 방침
2019-09-19
인도네시아 정부는 법인소득세(PPh)의 인하를 포함하여 대규모 세제 개혁의 일환으로 세금 미납자나 체납자에 대한 처벌 규정을 완화할 방침이다. 9일자 비즈니스인도네시아의 보도에 따르면, 악의적이지 않은 체납자에 온정으로 납세 의식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세수의 안정적 확보에 연결시킨다는 방침이다. 인도네시아 재무
2019-09-18
인도네시아 생명보험협회(AAJI)에 따르면 상반기(1~6월) 국내 생명 보험회사의 보험료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 90조 2,500억 루피아이었다. 한편, 생명 보험회사의 자산 운용 이익과 새로운 계약 연간 보험료(ANP)는 증가해 경상 이익은 32% 증가한 118조 3,200억 루피아로 확
2019-09-17
성인 남성 약 70% 흡연자…온라인 담배 광고도 금지 '흡연 대국'으로 불리는 인도네시아가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내년부터 담뱃값을 평균 35% 인상하기로 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성인 남성의 약 70%가 흡연자로, 세계에서 흡연자 비율이 가장
2019-09-16
인도네시아 프랜차이즈 라이센스 협회(WALI)는 올해 프랜차이즈 산업의 매출 성장률이 전년의 3%에서 5%로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4월 대선과 총선을 마친 후 정국이 안정되었고, 사업 확대를 시작하는 기업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6일자 국영 안따라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WALI의 관계자는 "기업들은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이 10일 발표한 7월의 소매 판매 지수(2010년=100, 속보치)는 221.2로, 전년 동월 대비2.4% 상승했다. 1.8%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 상승세로 돌아섰다. 8월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품목별로는 ‘부품·액세서리&rsq
2019-09-13
세계은행은 내년 인도네시아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이 4.9%, 2022년에는 4.6%로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포스트의 9일자 보도에 따르면, 미중 무역전쟁 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꼬 위도도(통칭 조꼬위) 대통령과 면담한 세
2019-09-11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이 5일 발표한 8월 소비자 신뢰 지수의 종합 지수(IKK)는 123.1이었다. 전월 대비 1.7포인트 감소하며 3개월 연속 하락했으나 낙관적권(지수 100 이상)을 유지했다. 지역별로는 국내 18개 도시 중 10개 도시 지역에서 지수가 떨어졌다. 하락폭이 가장 컸던 반뜬주의 지수는 전월 대비 9.3포인트 하
2019-09-10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은 6일, 8월말 외환 보유액이 7월말 시점에서 0.4% 증가한 1,264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은 전월 대비 증가 요인에 대해 석유 가스 산업 등에서 환차익 증가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외환 보유액은 수입 대금의 7.4개월 분 또는 수입 대금과 대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