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중앙은행, 중국 내 알리페이, 위챗 표준과 QRIS 연동 추진 > 경제∙비즈니스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니 중앙은행, 중국 내 알리페이, 위챗 표준과 QRIS 연동 추진

금융∙증시 작성일2025-10-06

본문

QRIS 결제(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인도네시아 큐리스(Quick Response Indonesia Standard;QRIS) 시스템은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의 지속적인 중국 진출 확대의 일환으로 중국의 두 주요 디지털 결제 플랫폼인 알리페이(Alipay )와 위챗(WeChat)을 활용할 예정이다현재 통합이 진행 중이며 올해 말까지 완전한 적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일 자카르타포스트에 따르면, 중앙은행의 결제 시스템 정책 책임자 리안 리잘디는 큐리스(QRIS)가 두 플랫폼과 연결될 것이라고 말했지만다양한 표준 차이로 인해 통합 과정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1일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공개 토론회에서, "인도네시아 국민들이 중국 내 많은 상점에서 QRI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파트너 국가에서 높은 가맹점 수용도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단 한 곳의 결제 제공업체와만 계약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리안은 중국 내 모든 판매자가 QRIS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목표이며, 중국인민은행(PBoC)이 새로운 표준을 만들지 않고도 QRIS를 알리페이 및 위챗과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합 메커니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중앙은행은 이전에 중국으로의 확장 계획에 앞서 두 나라 간의 '상호 연결 시험'을 시작하기 위해 중국인민은행과 협력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시험에는 인도네시아 결제 시스템 협회(ASPI), 중국 유니온페이 인터내셔널(UPI) 및 결제 시스템 제공업체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공개 토론 세션에서 리안은 국경 간 QR 결제 이니셔티브를 구현하는 데 있어 정책 조화가 여전히 가장 주요한 과제라고 강조하며중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들이 통일된 표준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다른 과제로는 인도네시아와 파트너 국가 모두에서 국경 간 결제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결제 선호도가 다르며시스템이 확장됨에 따라 잠재적 사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중앙은행은 이미 지난 8월 싱가포르말레이시아태국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일본을 포함한 여러 아세안 국가와 그 밖의 국가로 QR 기술을 확장했다또한 인도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여러 국가도 도입을 검토 중이다.

 

현재 아세안 지역의 확장 계획에 대한 질문에 리안은 높은 연계 비용과 국가 간 경제 규모의 차이를 고려할 때 "더 강한 경제적 유대" "더 높은 거래 잠재력"을 가진 국가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암시했다.

 

그러나 그는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와 같이 이미 지역결제연결(RPC) 이니셔티브에 참여한 국가들은 국경 간 결제 구현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국내에서도 QR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결제 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148.5% 증가한 61억 건을 기록하는 등 소비자와 판매자 사이에서 QRIS 도입이 급증하고 있다. [자카르타포스트/자카르타경제신문]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공지사항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