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정부는 냉동창고업의 외국인 투자 지분 한도를 확대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1월 30일 자카르타글로브가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당국은 냉동창고업을 외자에 개방함으로써 자국의 해양 수산업 발전과 지방 고용 증가를 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국인 투자 지분을 제한하는 투자조정청(BKPM)의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향후 5년간 비(非)석유가스 산업의 성장률 목표를 하향 조정했다. 세계 경제침체가 앞으로 몇 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에 따라 올해 초 결정한 2019년까지의 중기계획을 변경했다. 산업부는 올해 3월 공표했던 19년까지 비(非)석유가스 산업 성장률 관련 산업부 장관령(2015년 제31.1호)에서 명시된 성장률
미국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인도네시아 부동산 시장이 향후 2년간 두 자릿수 성장할 것이라는 예상을 수정, 보합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올해 1~3분기 동안 인도네시아 경제성장률은 5%대를 밑돌았으며 루피아 환율 역시 약세를 보여왔다. 동기간 부동산 판매는 2010년 수준으로
로이터스 여론 조사에 따르면 11월 인도네시아의 연간 인플레이션이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이 목표로 한 3~5%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위 조사에 참여한 12명의 애널리스트들은 11월 인도네시아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평균 4.88%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 10월달 연간 인플레이션율이 6.25%를 기록한 것에 비하면 현
국제통화기금(IMF)은 11월 30일 이사회를 열어 ‘제3의 통화’로 불리는 특별인출권(special drawing right, SDR) 통화 바스켓에 중국 위안화를 편입했다. 편입 시점은 내년 10월 1일부터이다. 이에 아구스 마르또와르도조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 총재는 양국 간 무역 기준통화를 위안화와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내년도 제조업 목표 성장률을 5.7%로 설정했다. 국내 경제 상황이 점차 회복세에 오른 것과 더불어 내외에서 투자가 살아나고 있는 움직임이 포착되었기 때문이다. 올해 제조업 성장률은 5.2~5.5%로 예상되나 내년에는 이보다는 사정이 좋을 것이라고 산업부는 전망했다. 26일 살레 산업부 장관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
트위터(Twitter)는 2016년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사용자가 50%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며 잠재력이 큰 온라인 광고 시장을 노리고 있다고 밝혔다. 트위터 아시아태평양 지부 소셜 애널리틱스 대표 티엔위 쉬는 “인도네시아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수입이 증가할수록 인터넷에 더 큰 비용을 지출한다”라고 말
인도네시아 국영항공사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은 저가항공(LCC) 자회사 시티링크(Citilink)에서 사용할 항공기 조달 등으로 3억4,000만달러의 자금 조달 계획을 밝혔다고 27일 현지 언론은 보도했다. 가루다 항공의 아리프 위보워 사장에 의하면 조달자금은 시티링크용 항공기를 조달하는 것 외에도 항공정비회사인 GMF(Garuda
내년 4월 외국인 투자 규제 내용을 담은 투자네거티브리스트(Daftar Negatif Investasi, 이하 DNI)가 개정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인도네시아 정부가 현금수송서비스 분야의 외국인 지분율을 상향을 검토하고 있다. 현 DNI 규정에 따르면 현금수송서비스 분야의 외자 비율은 49%로 제한되어 있다. 보통 현금과 귀중품 등
자카르타와 반둥을 연결하는 길이 150㎞ 고속철도를 내년 4월에 착공할 계획이다. 자카르타-반둥 고속철 사업을 주관하는 인도네시아 국영기업 컨소시엄의 항고로 사장은 고속철 건설과 관련해 환경ㆍ산림 당국이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 4월에 착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27일 말했다. 그는 자카르타-반둥 고
인도네시아의 밤방 브로조느고로 재무부 장관은 27일 올해 재정적자 규모가 최악의 경우 법정 한도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경기침체로 세수가 목표치의 85~87%에 그침에 따라 부족액이 180조루피아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현지언론은 전했다. 인도네시아는 재정 적자 규모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3%로 제한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가 소다 등 과당 음료에 과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3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WSJ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재정부는 보건부에 소다 등 과당 음료가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지를 연구해달라고 요청했다. 해당 품목이 담배, 알코올 등 소비세 품목에 포함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기 위해서다.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