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가 전략 프로젝트를 감독하는 국가우선개발 인프라준비위원회(KPPIP)는 올해 3분기(7~9월)에 국가 전략 프로젝트로 선정된 인프라 사업 31개 안건을 완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꼬 위도도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10월을 앞두고 인프라 사업 완공을 서두른다. 현지 언론 인베
건설∙인프라
2019-01-23
인도네시아 철강공업협회(IISIA)에 따르면, 2018년 철강 수출액이 전년 대비 72% 증가한 57억 5,000만 달러로 대폭 증가했다. 현지 언론 인베스톨 데일리 21일자 보도에 따르면 IISIA의 에리 사무총장은 “철강산업 집적지인 중부 자바의 모로왈리 공단에서 지난해 스테인리스 신공장이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최대 식품회사 인도푸드 숙세스 막무르(PT Indofood Sukses Makmur, 이하 인도푸드)의 제분 부문 자회사 보가사리(PT Bogasari)는 5,300억 루피아를 투자해 서부 자바 찌비뚱에 제분 공장 2개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꼰딴 21일자 보도에 따르면 인도푸드의 프란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는 2024년까지 470만호 가정에 도시가스를 공급할 목표라고 밝혔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18일자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경상 수지 적자는 국내 총생산(GDP)의 3%에 달한다. 특히 도시가스 정비가 외화 유출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분석돼 정부는 에너지 분야의 지
세차 사업을 담당하는 일본계 기업 센샤는 지난 15일 인도네시아에서 사업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해외 사업으로는 31개국째로, 19일에 인도네시아 제1호점을 오픈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자동차 판매 및 매입 임대 등을 다루는 요시다 오토 서비스(Yoshida Auto Service)가 출자한 현지 법인이 매장을
유통∙물류
지난 14일 현지 언론 뗌뽀 등에 따르면, 유숩 깔라 부통령은 항공 운임 인상을 용인하는 생각을 드러냈다. 유숩 깔라 인도네시아 부통령은 "항공 운임 상승은 미국 달러에 대한 루피아 약세가 진행한 데 따른 것으로, 운임이 인상되지 않으면 많은 항공사가 파산할 것"이라는 견해를 나타냈다. 그는
교통∙통신∙IT
김상균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은 인도네시아 마까사르∼빠레빠레(Makassar~Parepare) 철도건설사업을 수주하는 데 있어 굉장히 유리해진 상황이라며 해외수주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김상균 위원장은 22일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과의 기자간담회에서 "공단과 경쟁하는 인도네시아 현지업체보다 입찰가격이 높지만 우리가
인도네시아 기술평가응용청(BPPT)은 향후 5년간 국내 철도 차량의 현지 조달 비율을 현재 60%에서 80%로 끌어 올리는 목표를 제시했다. 16일자 비즈니스 인도네시아와 리퍼블리카가 전했다. BPPT의 와휴 차관(산업 기술 개발 설계 및 엔지니어링 부문)은 국영 철도차량 제조업체 인더스트리 끄레따 아삐 인도네시아(PT In
미쓰비시 자동차(Mitsubishi Motors)의 인도네시아 판매 자회사 미쓰비시 모터스 끄라마 유다 세일즈 인도네시아(PT Mitsubishi Motor Krama Yuda Sales Indonesia, 이하 MMKSI)가 올해부터 소형 다목적 차량(MPV) '익스팬더(Xpander)'의 생산라인을 풀 가동시킬 계획이다.
인도네시아 도로 공단 자사 마르가(PT Jasa Marga)는 20일 자바섬 반뜬 므락과 동부 자바 바뉴왕이를 연결하는 자바섬횡단고속도로 3개 구간의 통행료를 21일부터 징수한다고 밝혔다. 통행료 징수 구간은 중부 자바주 쁘말랑-바땅, 바땅-스마랑, 스마랑-솔로 구간이다. 현지 언론 브리따
2019-01-22
일본 에자이와 메이지홀딩스 산하의 의약품 사업 회사 메이지세이카 파마(Meiji Seika Pharma)는 18일 토레이(Toray)가 개발한 가려움증 질환 개선제에 대한 독점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메이지세이카 파마는 태국과 인도네시아에서 이 제품을 독점적으로 개발, 판매할 권리를 취득한 것이다.
인도네시아 엥가르띠아스또 루끼따 무역장관 인도네시아는 미국 정부 일반특혜관세제도(GSP) 혜택을 계속 받는다. 일반특혜관세제도(GSP)'란 미국이 피지와 에콰도르 등 121개국의 특정 수출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해주거나 낮은 관세를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개발도상국의 수출 확대와 공업화 촉진 등을 지원
무역∙투자